닫기

이종섭, 순직해병 특검 첫 피의자 출석…“성실히 조사받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3010012737

글자크기

닫기

박서아 기자

승인 : 2025. 09. 23. 15:54

수사 개시 83일 만에 피의자 조사
수사 지연 지적에 "다른 특검과 달라"
피의자 소환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YONHAP NO-2715>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23일 서울 서초구 이명현 순직해병 특검팀 사무실에 첫 피의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명현 순직해병 특검팀이 23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순직해병 사건 당시 국방부 최고 책임자였던 이 전 장관이 순직해병 특검팀에 피의자로 소환된 것은 지난 7월 2일 수사 개시 이후 83일 만에 처음이다.

이 전 장관은 이날 오전 9시 53분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순직해병 특검팀 사무실에 들어가며 "성실히 조사받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순직해병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임성근 당시 해병대 1사단장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한 해병대 수사단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격노한 뒤, 대통령실과 군 지휘부를 통해 수사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이 전 장관은 초동 조사 결과를 결재했다가 윤 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이를 번복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수사 외압 의혹을 규명할 핵심 인물로 지목돼 왔다.

아울러 이 전 장관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선상에 올라 출국이 금지된 상태에서 지난해 3월 주호주대사로 임명돼 '도피성 출국'을 했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 전 장관은 지난 17일 호주 도피 의혹과 관련해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받으며 윤 전 대통령이 먼저 대사나 특사를 제안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이 전 장관은 사건 초반부터 이후까지 사실상 의사결정을 주도한 사람이기 때문에 수사 사항을 일일이 다 확인해야 한다며 "조사할 내용이 많아서 조사가 세 차례 이상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3대 특검 가운데 유일하게 아직 기소나 구속 사례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 정 특검보는 "다른 특검과는 다른 측면이 있다"며 "직권남용 혐의는 법정에서 다른 범죄보다 치열하게 다퉈진다. 당사자 진술이 엇갈리는 부분을 압수수색 등 절차로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정법상 11월 말 전에는 결론을 내야 하는 만큼 10월 정도에는 실질적인 수사를 마무리하는 수순으로 가야 하지 않겠나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순직해병 특검팀은 이날 박진 전 외교부 장관,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등도 불러 조사를 진행 중이다.
박서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