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아산시에 따르면 지난 18일 출범 100일을 맞은 비상특위가 제안한 민생경제 회복 방안은 모두 73건. 이 가운데 59건(80.8%)이 이미 시정에 반영됐다. 남은 14건 역시 관계부서 검토 및 중앙정부 건의를 거쳐 순차적으로 이행될 예정이다.
우선 '소상공인·지역상권 분야'의 활성화 노력이 본격화됐다. 시는 비상특위의 제안에 따라 시청 구내식당 휴무일을 매월 2회로 늘려 공직자들이 지역 식당을 이용하도록 장려했다.
여기에 공무원노조와 손잡고 '지역상생 할인식당'을 운영, 아산페이 결제 시 최대 20%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화폐 아산페이는 캐시백 18% 정책을 통해 사용량이 급증하며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기업·일자리 분야'에서는 인력난 해소와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시는 일자리지원센터 누리집을 고도화해 구인·구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청년층이 손쉽게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올해만 74개 신규 기업을 발굴하며 지역 청년과의 일자리 매칭을 촉진하고, 기업과 구직자 모두가 만족하는 채용 환경을 조성 중이다.
또 '도시개발·건설 분야'에서는 행정절차 간소화와 지역 업체 지원을 동시에 추진한다. 시는 소규모 도시개발 사업 인허가 과정에서 불필요한 절차를 폐지해 사업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도록 했다. 지역 건설업체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공사대금 조기 현금지급 방안도 마련, 유동성 개선을 지원하고 있다.
시민들의 일상과 가장 밀접한 '생활·관광 분야'에서도 높은 소비 진작 정책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대표 사례는 '아산시 맛객단'이다.
지역 SNS 활동가 20명이 직접 발로 뛰며 맛집을 발굴하고, 직접 생생한 후기를 온라인에 공유하고, 이를 '아산맛집 누리집'과 연동해 홍보 효과를 배가시킨다. 아울러 소비쿠폰과 아산페이 활용 캠페인을 병행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면서 지역경제의 선순환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정보와 경험 부족으로 기존 정책 혜택을 온전히 누리지 못하는 영세 소상공인들을 위한 가칭 '위기 소상공인 지원 프로젝트'도 준비하고 있다. 소상공인 역량 강화 교육, 경영 컨설팅, 디지털 전환 지원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실질적인 자생력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시는 이번 성과를 토대로 비상특위가 제안한 의견을 정책 방향에 적극 반영하고, 중앙정부의 민생 안정?내수 활성화 기조와 보조를 맞춰 지역 특색에 맞는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주요 과제는 내년도 본예산에 반영해 실질적 실행력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특히 비상특위의 의제 열 건 중 여덟 건 이상이 곧바로 실행되면서, 자칫 형식적인 협의기구에 그칠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를 자연스럽게 해소했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
오세현 아산시장은 "민생경제 회복은 시민이 현장에서 체감해야 한다"며 "비상특위가 발굴한 과제가 시정에 신속히 반영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시민이 변화를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들을 과감하게 실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