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때문에 사고 예방 안전 준비 소홀…부담 많아"
|
1일 업계에 따르면 이번 국감은 내달 시작될 예정인데 건설사 CEO 채택 등의 구체적인 윤곽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포스코이앤씨 사망사고로 인해 공사 현장 산업재해에 대한 강력한 처벌 의지를 보인 만큼 그동안 중대사고가 발생한 건설사를 중심으로 CEO 출석 명단이 마련됐다.
앞서 이 대통령은 공사 현장 근로자 사망에 대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을 언급하며 강력한 제재안을 마련해 시행할 것으로 주문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5일 '노동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해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 강력한 경제적 제재는 물론 등록 말소까지 가능토록 하는 시행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 때문에 최근 사망사고가 발생한 건설사를 중심으로 이번 국감 일정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안전 최우선이 현 정부의 노동 관련 키워드이기 때문에 이에 맞춰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기조가 사망사고에 대해서는 반드시 강력한 처벌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아무래도 이번 국감도 건설사 안전과 관련된 부분을 어느 정도 다루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혹시 모를 사태에 대한 최소한의 준비는 하고 있어야 한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고 말했다.
국감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어 현장의 안전 관련 준비를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점검 등 안전과 관련된 준비가 상대적으로 소홀해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부담이 많아지고 있는데 당장 이런 부담감을 극복하는 것도 쉽지 않아 고민"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