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공학한림원, 무인자율주행 안전과 사업화 위한 '주행 사업자' 제도 도입 제안
|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25~26일 제주신화월드에서 열린 제93회 대한교통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한국교통연구원과 공동 세션을 열고, 자율주행 서비스의 원격 운영·안전관리 방안과 향후 제도적 과제를 논의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세션에는 국토교통부, 한국공학한림원, 택시업계 관계자 등이 함께 참여해 산업과 제도의 균형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박일석 카카오모빌리티 자율주행사업팀 이사는 "무인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해서는 운영과 관제 기술이 핵심"이라며 엣지 시나리오 대응, 실시간 모니터링, 비상상황 대응 등에서 안전관리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영기 한국공학한림원 위원장은 개별 차량을 모니터링하고 주행 안내·제어까지 수행하는 'DSP(Driving Service Provider, 주행 사업자)' 개념을 제안했다. 그는 "주행 사업자가 다양한 차량에 공정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국내 데이터 주권 강화와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은 자율주행 사고 발생 시 '최초 대응자(First-responder)'를 지정하고 차량과의 일관성 있는 협력 체계를 갖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강경표 연구팀장은 "안전관리자, 주행 사업자, 최초 대응자가 자율주행 여객운송 사업화를 위한 마지막 퍼즐"이라며 운송사업자·기술업체·서비스 기관 간 협업의 중요성을 짚었다.
자율주행 확산에는 사회적 수용성도 관건으로 지목됐다. 구영욱 카카오모빌리티 책임연구원은 "신기술에 대한 신뢰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며 사회·정치·지역사회 전반의 수용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그간 축적한 데이터와 AI 기술 역량을 학계와 공유하며 국내 자율주행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함께 모색했다"며 "스타트업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협력해 자율주행 서비스 생태계 조성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