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재무 정보 반영 신용평가로 선별 대출 대응
|
더구나 정부의 금융정책 기조 등을 이유로 8월부터 기업대출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 하반기 건전성 관리도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에 은행들은 비재무 항목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기업신용평가 모형 개발에 힘쓰고 있다. 연체 가능성이 낮은 기업을 선별해 대출하겠다는 전략이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7월말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7%로 전월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기업대출은 0.07%포인트 오른 0.67%를, 가계대출은 0.02%포인트 오른 0.43%를 기록했다. 기업대출 중에서 중소기업대출은 0.82%로 한 달 사이 0.08%포인트 올라 전체 기업대출 연체율 상승을 주도했다.
7월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6000억원을 나타냈다. 이는 작년 7월과 비교할 때 5000억원이 증가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신규 연체채권 규모는 2조8000억원으로 작년 동월 대비 8000억원 늘었다.
은행들이 위험가중자산(RWA) 관리 등을 이유로 7월까지 기업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리지 않았다.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7월말 기업대출 잔액은 798조2103억원으로 작년말 대비 0.92% 증가하는데 그쳤다. 대출자산 성장을 억제했음에도 부실채권 증가·연체율 등 건전성은 개선되지 못했다.
문제는 7월 이후다. 정부의 생산적 금융 전환 기조와 강력한 가계대출 총량 규제로 인해 은행들이 기업대출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5대 은행의 8월말 기업대출 잔액은 836조8801억원으로 지난해말보다 116조2575억원 늘었으며, 한 달 동안에만 6조2648억원 증가했다. 무엇보다 연체율이 높은 중소기업대출이 668조9622억원으로 같은 기간 3조2763억원 증가했다.
신규 기업대출, 무엇보다 상대적으로 연체율이 높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이 늘었다는 점은 앞으로 은행들의 건전성 관리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 중 은행 연체율이 개선 추세로 전환될 것이라는 기존 전망을 정정한다"며 "현 시점에서 연체율이 급감하지 않는 한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가 됐다"고 평가했다.
시중은행들은 비재무 정보를 반영한 기업신용평가 모형 개발 등 유망·우량기업을 찾기 위한 선구안 제고 등에 나섰다. 사전에 연체 가능성이 낮은 기업을 골라 대출을 실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생산적 금융과 포용금융 확대 등 정부 정책 기조를 고민할 때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출 확대는 지속될 것"이라며 "건전성 관리의 핵심은 우량한 기업대출 자산을 어떻게 잘 확보하는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