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무안군, 대통령실 주관 6자 TF 당당히 참여…군 3가지 제안 제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9010015849

글자크기

닫기

무안 이명남 기자

승인 : 2025. 09. 29. 15:50

먼저 광주 민간공항 선(先) 이전
광주시 1조원 규모 공개 지원 약속
국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선(先) 제시
무안군
무안군청 전경
전남 무안군이 29일 군수 명의로 입장문을 내고 대통령실 직속 6자 TF구성과 군공항 이전 핵심 쟁점에 대해 설명했다.

29일 무안군에 따르면 지난 6월 25일 이재명 대통령님이 주재한 타운홀 미팅 다음날인 26일에 우리군은 '군 공항 이전 관련 군민께 드리는 말씀'이라는 제목으로 대통령실 직속 6자 TF 구성원으로 참여해, 군 공항 이전 핵심 쟁점에 대해 군민들의 목소리를 적극 대변한다고 분명히 전했다.

무안군이 6자 TF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전남도를 비롯한 군 공항을 찬성하는 사회단체에서 입장문을 통해 무안군에 6자 TF팀 참여를 촉구한다는 것은'어불성설'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마치 무안군이 6자 TF에 참여 의사가 없는 것처럼 보여 무안군민들에게 상당한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무안군의 사회적 위상이 실추될 수 있어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고 주장했다.

또 "군은 광주 군 공항 이전 6자 TF 참여 의사가 있음을 다시 한번 말씀드리며, 광주 군 공항 이전 관련한 무안군의 공식적인 입장을 알려드리니, 추후 이러한 불미스러운 상황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광주 군 공항 이전사업의 현(現) 컨트롤타워는 대통령실 TF팀으로 지자체, 중앙부처 등 관계기관과 실무협의를 통해 의견을 조율 중에 있고, 조만간 대통령실 주관으로 6자 협의체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 된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무안군이 대통령실에 명확하게 입장 표명을 했는가'라며 무안군은 3가지 제안을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첫째, '광주 민간공항 선(先) 이전'이다. 2018년 당시 3자 협약의 이행과 무안군민의 광주시에 대한 불신 해소, 더 나아가'무안국제공항 활성화'라는 대의를 위해서라도 광주시의 과감한 결단과 광주시민들의 통 큰 양보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광주 민간공항 이전은 새로운 공항의 건설이 아니라 단순히 국내선 기능 이전만 하는 것이기에 조속한 이전이 가능하다. 광주시와 국토부의 강력한 추진 의지만 있다면 올해 연말까지 이전이 가시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이전 결정은 참사 이후 제 기능과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무안국제공항의 조기 정상화의 실현과 침체된 광주·전남 관광업계의 활력 제고 그리고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될 것이다.

둘째,'광주시의 1조원 규모의 공개 지원 약속에 대한 이행 방안 제시'다. 지난 2023년 6월 강기정 광주시장님은 공개석상에서 군 공항 유치지역에 1조원 규모를 지원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약속했다.

이를 위해 지원 조례를 검토하고 제정한다고 줄곧 표명했지만, 2년이 지난 지금 지원 약속 이행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하지 않은 채, 군 공항 이전 지역 결정에만 혈안이 돼 있다.

광주광역시에서 1조원 규모 지원 약속의 신뢰를 담보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이행 방안으로 답해주길 바란다.

셋째,'국가의 획기적인 인센티브 선(先) 제시'다. 김산 군수가 타운홀 미팅 당시에도 강조했듯 "국가가 주도해 소음피해 등 각종 피해를 뛰어넘는 획기적인 인센티브가 제공된다면 군민을 설득할 명분이 생긴다"고 했다.

하지만 무안군이 생각하고 있는 국가 차원의 획기적인 인센티브는 현재까지는 제시되지 않고 있어, 군민들을 설득할 명분조차 없는 실정이다.

이어 "새로운 정부의 국정철학인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따른다'는 것처럼 비록 군민들이 광주시민에 비해 상대적 소수라고 할지라도 군 공항 이전으로 인한 희생의 가치가 군민 행복 실현과 무안군의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가치로 전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보상책을 마련해 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

끝으로 무안군은 대통령실에 3가지 최종안을 제출해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기에 대통령실 주관 6자 TF 첫 회의가 열리기 전까지 앞으로 무안군의 입장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있는 어떠한 의견 표명도 자제해 주실 것을 정중하게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명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