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친화적 방식으로 '생산적 금융' 유인
|
이 위원장은 29일 은행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은행들이 느끼는 부담이나 애로는 팩트 파인딩을 통해 최대한 파악하고, 완화할 부분은 완화하겠다"며 "무리하게 일방적으로 강제하는 방식이 아닌, 시장친화적 구조를 통해 생산적 금융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생산적 금융 실현을 위해 정부의 방향과 은행권의 실행 설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금융이 5년간 80조원을 생산적 금융·포용 금융 확대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사례로 들며 "자본규제 합리화를 통해 생긴 여력을 신성장 산업으로 유도하는 방식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생산적금융에 대해서는 단순한 자금 공급이 아닌, 우량 기업 발굴·신용평가 모형, 조직 인력 등 내부 역량 정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생산적 금융을 하려면 어떤 기업이 유망한지 평가하고 신용평가를 어떻게 할지, 내부 조직과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며 "단순히 돈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위원장은 일각에서 제기된 '생산적 금융이 은행권에 과도한 책임을 지우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이 위원장은 "시장친화적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방식이라는 게 무리하게 일방적으로 '이쪽으로 가라'고 강제하는 게 아니다"며 "자본규제 합리화를 통해 생긴 여력을 생산적 금융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은행들이 느끼는 부담이나 애로는 항상 파악하고, 완화할 수 있는 부분은 완화할 것"이라면서도 "정책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설득을 통해 추진하겠다"며 부담 완화와 정책 추진을 병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날 질의응답에서 장기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배드뱅크) 추진 상황도 설명했다. 배드뱅크는 내달 1일 출범을 목표로 준비가 진행 중이며, 은행권도 재원 모금에 적극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은행장들도 필요성에 공감했고, 세부 내용은 출범식에 맞춰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의 조직 쇄신 방향에 대해서는 "금융의 대전환은 우리 스스로의 변화에서 시작해야 한다"며 초심, 변화, 성과를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융위뿐 아니라 금융감독원과도 함께 쇄신 방향을 공유해 진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