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25 국감]한성숙 “소상공인·중기 회복 집중…소상공인 경영안정바우처 지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14010003253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10. 14. 10:18

"소상공인 회복전담지원체계 구축"
한성숙 중기부 장관, 국회 산자중기위 중기부 국감서 이같이 밝혀
1
한성숙 중기부 장관.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14일 "소상공인과 중소·벤처기업의 회복과 성장에 역량을 집중해 우리 기업이 세계를 무대로 활약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이날 오전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중기부 국감에서 이같이 밝히며, "소상공인의 경영안전망 강화를 위해 경영안정바우처를 지급하고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협업해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 부담 경감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기안전망을 강화하겠다"며 "부처협업을 통해 사업진단, 채무조정, 폐업·재기 전 단계를 원스톱 지원하는 소상공인 회복전담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소상공인의 매출·신용정보 등을 활용한 위기정보 알람모형을 구축해 사전에 대응하고 폐업 이후 신속한 취업과 재창업을 통해 소상공인이 겪는 재도전의 어려움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내수 활성화를 위해 범부처 합동으로 대규모 할인행사를 추진할 계획으로 동행축제,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을 통합 개최해 이번 행사가 국가적 브랜드가 되도록 힘쓰겠다"며 "소상공인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맞춤형으로 활용해 AI활용 경영 지원, AI 민원상담도우미, 소비 데이터 분석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창업·벤처 4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의 성장과 벤처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하겠다"며 "모두의 도전적 창업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창업루키 프로젝트를 추진해 매년 1000명 이상의 청년 창업가를 발굴하고 엑셀러레이터(AC)·벤처캐피털(VC)들이 초기 투자와 밀착 보육을 돕는 벤처 스튜디오 방식도 적극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AI·딥테크 스타트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며 "유망 AI·딥테크 기업이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 단계별로 집중 투자하는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NEXT UNICORN Project)'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실리콘밸리에 공공·민간 지원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스타트업·벤처 캠퍼스를 구축해 AI·딥테크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돕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간과 공공의 여유자금이 모여드는 벤처투자 생태계를 만들어나가겠다"며 "연기금과 퇴직연금을 벤처투자 시장으로 유인해 내년 모태펀드 출자예산도 2배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스타트업 원스톱 지원센터'를 구축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중소기업의 혁신동력 창출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스마트제조 3.0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뿌리부터 첨단까지 중소 제조기업의 AI 대전환을 지원하고 제조현장 디지털 전환(DX)·인공지능 전환(AX)을 지원하는 '스마트제조 전문기업'육성 등 제조혁신 기반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소기업 R&D(연구개발)은 역대 최대 규모인 2조2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했으며 사업화로 이어지는 돈이 되는 R&D로 혁신하겠다"며 "중소기업 통상환경 대응력 제고를 위해 수출바우처를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주력수출 품목을 육성해 중소기업의 수출 성장과 해외진출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의 중소기업과 창업기업을 집중 육성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겠다"며 "5극 3특 성장엔진 전략 등을 반영해 지역주력산업을 개편하고 5년간 1조원 규모의 지역 중소기업 전용 R&D 등을 통해 지역대표기업을 육성하겠다"고 언급했다.

그는 "지자체가 지역 산업특성에 맞게 자율적으로 기획한맞춤형 AI 활용·확산 프로그램을 지원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지역 간 AI 격차 완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2030년까지 비수도권 14개 시도에 1개 이상의 벤처모펀드를 조성해 과기특성화대학 중심 인력 양성 등 지역에 투자·창업인력·인프라를 집중해 기술창업을 촉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공정한 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지난 9월 발표한 중소기업 기술탈취 근절 방안을 추진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보호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납품대금 연동제 대상을 원재료 이외에 에너지 경비까지 확대하고 불공정 거래 피해 중소기업의 피해구제기금을 신설하겠다"며 "온라인 플랫폼과 소상공인 등 기업 간 상생협력을 촉진하고 하위 협력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대금 지급을 위해 공공기관부터 상생결제를 확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