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컨설팅에도 개선 한계 뚜렷
코스닥 현실에 맞는 지원책 시급
|
26일 한국거래소 불성실공시법인 현황에 따르면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의 누적벌점 상위 20개사 중 코스피 종목은 코아스·세원이앤씨·금양 등 총 3개, 코스닥 종목은 한국유니온제약·올리패스·테라사이언스·더테크놀로지 등 총 17개사다. 17개 기업의 평균 누적벌점은 20점, 평균 제재금은 6500만원이었다.
누적벌점 상위 기업의 범위를 넓혀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누적벌점이 쌓여 있는 82개 불성실공시법인 중 코스피 종목은 19개인 반면, 코스닥 종목은 61개로 전체 비중의 74.4%를 차지한다. 공시 의무를 제때 이행하지 못하거나 내용의 정확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기업이 코스닥 시장에 쏠려 있다는 의미다.
코스닥 기업의 공시 부실은 수년 전부터 지속된 문제다. 2019년 금융위원회는 코스닥 시장이 코스피 시장에 비해 불성실공시가 빈번하다는 이유로 '코스닥 시장 공시 건전성 제고 방안'을 내놓았다.
부실한 기업공시와 관련해 사후 제재만으로는 투자자 보호에 한계가 있는 만큼, 자체 공시 역량 강화 지원에 중점을 둔다는 복안이었다. 금융당국은 거래소와 함께 코스닥 기업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한편, 공시의무와 관련한 현장 방문교육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지금도 거래소는 코스닥협회와 공동으로 코스닥 기업의 공시담당자를 대상으로 정기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코스닥 기업들의 현실 탓에 불성실공시는 근절되지 않고 있다. 코스닥협회 관계자는 "(불성실공시법인에 대한) 사정은 가지각색일 것"이라면서도 "설명회·교육을 진행하는데도 코스피 기업에 비해 규모나 인원이 적다 보니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배경이 이런 까닭에 코스닥 기업 사정을 고려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스닥 기업 공시 담당자는 재무·총무 등 여러 업무를 겸직하는 경우가 많아 복잡한 공시 규정을 숙지하고 작성하기 힘들다"며 "공시 전문 인력이 부족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공시 대행 서비스나 자문을 제도화하는 방안이 논의되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