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천시는 4일 열린 시 향토유산 보호위원회 상정 안건으로 '향토유산(유형문화유산) 지정의 건'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심의회에는 위원장인 박종근 부시장 등 6명의 위원이 참석해 은선사 석조여래좌상이 시 지정 향토유산으로서 갖고 있는 역사·예술·학술적 가치와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에 심의된 은선사 석조여래좌상은 조선 후기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으로 결가부좌한 하반신 폭 54㎝, 어깨폭 38㎝, 높이 48㎝로 비교적 규모가 작은 형태다. 현재 불두 부분이 결실돼 몸체만 남아 있으나 가슴 부분에 표현된 내의는 얕은 선각 기법으로 처리됐으며, 결가부좌한 하체는 방형에 가까운 무릎 윤곽과 평평하게 처리된 무릎 상면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수인의 형태는 양손 촉지인 형태이나 일반적인 항마촉지인과 달리 오른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있으며, 왼손은 무릎 위에 가볍게 올린 촉지인 형태를 하고 있다. 불교조각사 연구에 있어 의미 있는 자료적 가치를 가진 문화자원으로, 이천시 향토유산으로서 지정할 가치가 크다고 인정 받았다.
이천시 관계자는 "은선사 석조여래좌상은 일부 훼손된 부분도 있으나 불상이 갖추고 있는 수인과 양팔에 흘러내리는 천의와 유사한 복식 착용의 모습 등은 독특한 양식적 특징으로 보여주는 불상"이라며 "더욱 체계적 보존과 관리로 뜻깊은 지역의 문화자원으로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