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의원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3년간 약 77억원이 투입돼 열감지기, 소독기, 살균기 등 각종 방역기기가 구입됐지만, 현재 상당수가 학교 현관이나 창고에 방치돼 있다"며 "당시 구매의 긴급성은 이해하지만, 이제는 사후관리와 효율적 활용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재현 체육건강과장은 "전수조사를 통해 방역기기 현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기기는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답변했다.
박 의원은 또 "최근 독감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호흡기 질환 확산 우려가 큰데, 코로나 종료 이후 상당수 학교에서 공기살균기조차 사용하지 않고 있다"며 "특히 돌봄교실, 급식실, 보건실 등 취약공간에서의 적극적인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수십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장비가 창고에서 녹슬고 있는 것은 행정의 비효율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라며 "전면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상태가 양호한 장비는 재활용 또는 공유 체계를 만들어 지역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박 의원은 "감염병 상황은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며 "방역 인프라를 일시적 대응 자원이 아닌 일상적 학교 안전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