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기료 인상 불가피
"현재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원전에 비해 높은 수준"
"속도 차이는 있지만 재생에너지 확대 쪽으로 가야"
|
6일 업계에 따르면 김동철 한전 사장은 전날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빛가람국제전력기술엑스포(BIXPO)' 현장에서 기후에너지환경부 출입기자단과 만나 '전기요금 현실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추진 상황과 이로 인한 요금 인상 우려에 대해 김 사장은 "재생에너지도 시간이 지나면 발전단가는 떨어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현재는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원전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재생에너지를 빨리 시작한 다른 나라의 사례를 보면 발전단가가 많이 내려가 있고, 세계적인 추세"라면서 "전기요금이 단기적으로 인상될 수밖에 없다고 해서 그 추세를 거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재생에너지 확대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을 국민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느냐는 지적에 대해선 "전기요금 인상론이 있다고 해서 재생에너지를 막아버리면 우리는 계속 재생에너지 후진국이 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이어 "속도의 문제는 있겠지만 사우디아라비아나 아랍에미리트(UAE) 사례를 보면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kWh당 1~3센트밖에 안 된다"며 요금이 저렴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현재 높은 단가만 생각하면서 소극적으로 나아간다면 우리는 기존 전원인 원전과 석탄, LNG에만 의존하게 될 것"이라며 "국민 동의 하에 속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재생에너지 확대 쪽으로 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또 국가전력망 확충 과정에서 빚게될 주민 수용성 문제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김 사장은 "전력망 건설과 전력망 확충은 이제는 한전 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과제로 완전히 성격이 바뀌었다"면서 "보상문제부터 전자파, 전력설비의 혐오시설 이미지 개선 등 주민 수용성 과정에서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전자파 특정은 제3의 기관을 통해 진행하고, 미관상 좋지 않은 전력설비의 경우 미관까지 고려해 미적 감각을 가진 건물로 탈바꿈 시켜서 다른 건물보다도 미관상 수려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비용을 투입할 생각이다"고 설명했다.
한전의 인공지능(AI) 위상도 제고하겠다고 부각했다. 김 사장은 "공공기관 AI 대전환 행사에서 한전이 에너지 AI 분야 선도 기관으로 지정됐다"며 "앞으로는 정부 기대 수준을 넘어 획기적인 AI 대전환을 준비해 나갈 생각이다"고 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내 AI 전환 조직과 인력을 획기적으로 확충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