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KB증권에 따르면 회사는 사모펀드, 랩어카운트, 신탁 등 자문형 상품 중심의 자산관리 경쟁력을 강화하며 WM 부문의 질적 성장을 이끌고 있다. 시장 상황과 고객 투자 성향에 맞춘 맞춤형 운용 전략을 확대하면서 Fee-Based 자산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10월 말 기준 증권형 사모펀드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8040억원을 기록했다. 본사 주식형 랩 판매액은 771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1% 늘었고, 투자형 랩 수익은 82% 증가했다. 같은 기간 KB증권의 WM 전체 자산 규모는 전년 대비 30% 확대됐다.
KB증권은 운용사·영업점·고객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투자 전문가를 중심으로 맞춤형 종합 자산관리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투자 전문가는 고객의 투자 성향과 목표를 분석해 포트폴리오 구성부터 사후 관리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며, 단순 판매를 넘어선 장기적 자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 KB증권은 200회 이상의 투자 전문가 동반 영업과 PB 대상 세미나를 진행했다. 세무·부동산·법률 등 전문 분야 세미나를 병행해 고객 금융 이해도를 높이고, 장기적 자산관리 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다.
박민배 KB증권 상품전략그룹장은 "Fee-Based 중심의 WM 성장 전략은 고객과의 지속 가능한 동반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라며 "투자 전문가 중심의 자산관리 역량을 강화해 고객 자산 성장 여정에 실질적 가치를 더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