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힘 지지율 26~35% 지지부진
"계단식 상승 기대" 일부 낙관론 속
"민생 집중해 외연 확장" 요구 커져
|
12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최근 대검찰청과 법무부 앞에서 잇따라 규탄대회를 열고 대장동 항소 포기 결정 과정을 문제 삼으며 국정조사·특검·탄핵을 거론했다. 추경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도 오는 27일 예정돼 있어 여야 대치가 격화될 가능성이 크다. 사안의 파급력이 큰 만큼 단기적으로는 지지층 결집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강공 일변도 전략이 중도·무당층에 어필하는 데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 여론 흐름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길리서치가 쿠키뉴스 의뢰로 지난 8~10일 전국 1009명 대상 정당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더불어민주당 38.7%, 국민의힘 26.0%였고, 리얼미터가 미디어트리뷴·핸드미디어 의뢰로 실시한 3~7일 조사에서도 국민의힘 지지율은 34.8%에 그쳤다. 조사마다 차이는 있으나 국민의힘 지지율은 대체로 26~35% 범위에 머물러 있다. 강경 대응이 지지층을 묶어두는 데는 효과가 있지만, 외연 확장 동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당내에서는 강경 기조를 유지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반등의 계기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신동욱 수석최고위원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지지율이 답보 상태처럼 보이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계단식 상승이 있을 것"이라며 "민주당의 폭주가 드러나는 시점이 연말·연초가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야권 관계자는 "대장동 항소 포기나 체포동의안 같은 사안은 후퇴하기 어렵기 때문에 강공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며 "기조를 흔들면 오히려 당내 결속력이 약해질 수 있다"고 했다.
지지율 정체가 이어지는 만큼 '전략 조정'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사법 공세만으로는 외연 확장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일부 의원들은 민생 중심 메시지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강공 기조가 지지층 결집에는 유효하지만, 민생경제와의 접점을 넓히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과도 맞닿아 있다. 고물가·고환율 등 복합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민생 이슈를 전면에 배치해야 한다는 요구가 다시 커지는 이유다. 강공 일변도 국면이 고착된 만큼, 민생 중심으로 전략 전환을 시도할 '적기'를 언제로 잡느냐가 향후 정국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한 국민의힘 초선 의원은 "핵심 지지층만으로는 선거를 치르기 어렵다"며 "경제·정책 메시지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