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장동혁, 대여 강공·내부 관리 투트랙…여론 정체에 전략 딜레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4010007621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5. 11. 14. 17:30

‘재앙·독재자’ 발언 수위 연일↑…중도층 지지 이동세 뚜렷
대여 공세·내부 관리 병행에도 친한계 반발…전략 재점검론 고개
지지율 20%대 박스권 고착…“민생 메시지 확대 없인 확장 어려워”
국민의힘 규탄대회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지난 12일 국회 본관 앞에서 열린 '대장동 일당 7400억 국고 환수 촉구 및 검찰 항소 포기 외압 규탄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송의주 기자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대여 공세는 강화하고 내부 갈등은 최소화하는 투트랙 전략을 펼치고 있다. 존재감을 높이려는 포석이지만, 여론 반등은 좀처럼 나타나지 않으면서 전략의 실효성을 둘러싼 평가가 엇갈린다.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중도층과의 간극이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장 대표의 대여 발언 수위는 최근 한층 높아졌다. 그는 공식 행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언급할 때 '대통령'이라는 호칭을 생략하고 "재앙", "독재자" 등 강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을 둘러싼 책임론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지난 11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 집회에서는 "이재명을 대통령 자리에서 내려오게 해야 한다"며 탄핵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당 차원의 공세도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최근 대검찰청과 법무부 앞에서 연달아 규탄대회를 열고 대장동 항소 포기 결정을 비판하며 국정조사·특검·탄핵을 거론했다. 추경호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이 오는 27일로 예정되면서 여야 공방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당내에서는 "이미 전선이 분명해진 상황에서 기조를 쉽게 바꾸기 어렵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한 야권 관계자는 "지금 흐름을 뒤로 돌리면 정부·여당이 책임공방의 주도권을 가져가는 모양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강공에도 지지율 제자리…당내선 "기조 유지" 목소리

의총서 원내대표 발언 듣는 장동혁 대표<YONHAP NO-3909>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송언석 원내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연합뉴스
다만 강공 기조가 지지층 결집에는 일정한 효과가 있어도, 외연 확장으로 이어지지 않는 점은 지도부의 고민거리다. 한국갤럽(4~6일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26%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20%대 흐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11월 2주차 전국지표조사(NBS)에서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21%로 격차가 더 벌어졌고, 중도층에서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11%로 차이가 크게 확대됐다.

최근 발표된 조사에서도 흐름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24%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전주보다 2%포인트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2%포인트 하락하며 격차가 더 벌어진 모습이다. 강공 대응의 효과가 지지층 결집에 머물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그럼에도 지도부 내에서는 강경 대응을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신동욱 수석최고위원은 "지금은 지지율이 멈춰 보이지만 정국이 한 번 출렁이면 반등 계기가 생길 수 있다"며 "연말·연초에 민주당의 현안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면 분위기가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야권 관계자는 "대장동 항소 포기나 체포동의안은 이미 되돌리기 어려운 사안"이라며 "중간에 기조를 흔들면 오히려 당내 단속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했다.

◇강경 메시지 놓고 내부도 이견…"지선 앞 전략 점검 필요"

박수치는 장동혁 대표<YONHAP NO-3878>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14일 서울 마포구 상장회사회관에서 열린 중견기업 간담회에서 발언을 마치고 박수치고 있다./연합뉴스
대여 전략을 둘러싼 내부의 시각도 엇갈린다. 장 대표가 규탄대회에서 "우리가 황교안이다"고 외친 직후 극우 논란이 제기되자, 그는 "즉흥적 발언이 아니라 전략적 판단이며 부정선거를 옹호하는 취지는 아니다"고 해명하며 내부 갈등 진화에 나섰다. 반면 친한계(친한동훈)를 중심으로는 "메시지의 방향성과 강도를 다시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에선 강경 기조가 지지층 결집에는 유효하더라도, 민생·경제 이슈와의 접점이 약하면 지방선거 전략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지지율 정체가 이어지는 만큼 '전략 조정'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사법 공세만으로는 외연 확장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일부 의원들은 민생 중심 메시지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강공 중심의 대응은 당결집에는 도움이 되지만, 민생경제와 연결되는 접점을 넓히기에는 제약이 있다는 지적과도 맞닿아 있다. 고물가·고환율 등 복합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민생 의제를 전면에 배치해야 한다는 요구가 다시 커지는 이유다.

강공 일변도 국면이 고착된 만큼, 민생 중심으로 전략을 전환할 '적기'를 언제로 잡느냐가 향후 정국 흐름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장 대표의 투트랙 전략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는 향후 여론 흐름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한 국민의힘 초선 의원은 "핵심 지지층만으로는 선거를 치르기 어렵다"며 "경제·민생 메시지를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