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시민불편 사과…16-18일 운항 정지"
김민석 국무총리 "사고 원인 철저 조사" 특별지시
정부 차원 추가 조치로 운항재개 불투명 가능성
|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15일 오후 8시 25분께 잠실행 7항차 한강버스 102호가 잠실선착장으로부터 118m 떨어진 지점에서 일시 정지했다. 당시 탑승객은 82명이었으며, 소방 수난구조대와 한강경찰대에 의해 약 50분 뒤인 오후 9시 18분 모두 구조돼 잠실선착장으로 이송됐다. 인명피해는 없었다.
박진영 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사고 당시 브리핑을 통해 "배 내부에서 '쿵'하는 충격이 느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선체 아래 프로펠러와 스케그(프로펠러 보호장치)가 바닥을 긁으며 충격이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사고 원인은 토사 퇴적에 따라 항로 수심이 얕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박 본부장은 "최소 1.6~1.7m의 여유 수심을 두고 운항해왔으나, 최근 강수량이 적어 수량이 줄면서 토사가 예상 이상으로 쌓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사고는 정상 항로 내에서 발생했다. 잠실~뚝섬 구간은 원래 수심이 얕아 준설로 항로를 확보한 곳이다. 박 본부장은 "항로를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접촉이 발생했다"고 강조했다. 시는 이번 사고 이후 잠실·뚝섬·옥수·압구정 등 한남대교 상류의 모든 선착장 운항을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이 기간 선착장 주변의 이물질·부유물질 제거와 추가 준설 작업을 진행한다.
뚝섬 일대에서는 최근 사고 조짐이 잇따랐다. 지난 11일에는 뚝섬으로 입항하던 한강버스 프로펠러에 로프가 감겨 잠수부가 투입됐고, 15일 낮에도 '바닥이 긁히는 느낌이 든다'는 선장 보고가 있었다.
이민경 시 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사고 직후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으며, 구조·대응 체계는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가동됐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이번 상황을 계기로 운항 환경을 더욱 정밀하게 점검하고 시설·운항·비상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 사고와 관련해 정부와 여당도 원인 조사를 강조하고 나서 한강버스의 향후 운항 재개가 불확실해질 전망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한강버스 사고와 관련해, 서울시와 행정안전부가 협조해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라고 특별지시했다. 국무총리실은 김 총리가 "한강 지형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며 얕은 수심으로 인한 위험요인과 대응방안을 상세히 분석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한 사고 발생 시 모든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대응체계 재점검도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시민의 생명을 건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은 "서울시가 시민의 안전 위에 보여주기 행정을 쌓아올릴 때 어떤 위험이 발생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신호"라며 "수차례 경고에도 오세훈 시장이 한강버스 사업을 중단하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정부가 국무총리 차원에서 직접 지시를 내릴 정도로 사안의 심각성을 인식한 만큼, 한강버스는 사흘간의 점검을 거쳐 안전성을 확보하더라도 추가적인 보완 조치와 검증 과정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의 야심작이 정부 차원의 안전 점검과 여론 회복이라는 또 다른 난제를 맞으면서 한강버스 이슈가 상당 기간 장기화될 전망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