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관리 워크숍 개최
|
금감원은 17일 열린 '기업신용공여 등 리스크관리 워크숍'에서 상반기 실시한 증권사 리스크관리 실태 점검 결과를 업계에 공유했다. 점검에서는 심사역 개인 판단에 의존한 투자의사결정, 리스크관리책임자(CRO)의 재의요구권 미부여 등 제도적 미비점이 다수 확인됐다. 발행어음 운용과 기업금융이 동일 본부에서 수행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이해상충 가능성도 관리 사각지대로 지적됐다.
금감원은 투자 유형별 핵심 심사 체크리스트 마련과 데이터 기반 사후관리 체계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업계는 인수금융, 주식담보대출, 브릿지론 등 신용공여 유형별 리스크 요인 정의, 시나리오 기반 스트레스테스트, 담보·산업 특성을 반영한 사후평가 체계 등 모범사례를 소개했다.
모험자본 공급 전략도 논의됐다. 금융당국은 종투사에 대해 발행어음 조달액의 25%를 중소·중견기업 대출, A등급 이하 회사채, 벤처·신기사 투자 등 위험자산에 공급하도록 의무비율을 단계적으로 상향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IBK기업은행이 중소기업 대상 신용평가·사후관리 경험을 토대로 한 모험자본 공급 전략을 발표했다.
금감원은 "종투사 확대와 모험자본 투자 의무 강화로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며 "업계와 꾸준히 소통하며 내부통제·심사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