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천환경공단, 자원회수시설 ‘AI 스마트 안전기술’ 도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8010009073

글자크기

닫기

인천 박은영 기자

승인 : 2025. 11. 18. 09:26

AI 영상분석을 통한 위험 안내, 자동소화장치 등 스마트 안전 기술 도입
보도사진_(좌)로더에설치된센서모습,(우)자원회수센터작업자가위험방지인식센서츨착용_수정
인천환경공단 자원회수센터 작업자가 암밴드 센서를 착용해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인천환경공단
인천환경공단이 송도자원순환센터 자원회수시설의 현장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최신 스마트 안전 기술을 본격 도입한다. 공단 자원순환지원센터는 수영장, 잠수풀, 캠핑장, Par3 골프장 등으로 조성된 송도스포츠파크(주민편익시설)와 함께, 인천시 중구·연수구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하는 하루 50톤 규모의 자원회수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18일 공단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자원회수시설에서 재활용가능자원 선별 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 되는 부분과 중장비를 활용해 작업하는 특성을 반영해 현장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설물 화재 예방 등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공단은 먼저 로더, 지게차 등 중장비와 근로자에게 암밴드 센서를 제공하고, 인공지능(AI) 영상분석을 통해 서로의 거리를 실시간 인식해 위험시 양방향 경보를 발생시켜 충돌 사고를 방지하는 지능형 접근 경고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와 함께 근로자의 위험 행동 및 안전 보호구 미착용 등을 실시간 탐지하는 AI 영상분석 모니터링 시스템과 화재 발생 시 즉시 자동 진압이 가능한 불꽃 감지 자동소화장치도 순차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러한 스마트 안전 기술은 관리자의 현장 순찰이 어려운 시간대에도 자동으로 위험 상황을 감시하고 조기 대응할 수 있어, 안전사고 예방에 큰 효과가 기대된다.

김성훈 공단 이사장은 "지능형 접근 경보시스템 운영을 통해 현장 내 중장비 사고위험이 크게 줄었다"며 "앞으로도 첨단기술을 적극 활용해 자원회수시설 전반의 안전관리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은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