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는 '광명시흥 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이 전국 지방정부 사업 중 투자 가치가 높은 '대한민국 100대 지역투자유망사업'으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대한민국 100대 지역투자유망사업'은 지역투자 증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의 투자적격 사업을 발굴해 국내 대기업과 중견기업 등 민간투자자를 대상으로 홍보하는 사업이다.
사업의 적정성, 인프라 지원, 사업 지원 등 총 15개 항목을 전문위원들이 종합 평가해 50개 사업을 우선 선정했는데, 245만㎡ 규모의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는 서울 인접성, 우수한 교통 접근성, 풍부한 산업 연계성을 갖춘 수도권 서남부 핵심 산업단지다.
특히,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는 폭넓은 산업생태계 연계성이 강점으로 꼽혔다. 지(G)밸리, 여의도, 판교, 강남 등 정보통신기술 산업 중심지와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수원·평택·용인·이천으로 이어지는 반도체 벨트, 화성·평택·천안·아산으로 이어지는 자동차·전자부품 생태계까지 연결된다.
여기에 인천·안산의 전통 제조업 기반과도 연계할 수 있어 광범위한 산업생태계와 협력이 가능한 입지를 갖추고 있다.
이 같은 지리적·산업적 강점은 광명시흥 테크노밸리가 미래 첨단산업의 새로운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는 평가다.
이와 관련, 박승원 광명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매일경제TV 혁신성장포럼'에서 인증서를 받았다.
박 시장은 "현대차그룹, 삼성, LG, SK 등 대기업들이 대규모 국내 투자 확대를 선언한 시점에 광명시흥 테크노밸리가 지역투자유망사업으로 선정된 것은 사업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라며 "미래모빌리티, 인공지능, 로봇 등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으로 수도권 연구개발(R&D)의 혁신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광명시흥 테크노밸리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경기주택도시공사가 공동 시행하고 있으며,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