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대한항공과 삼성E&A는 'SAF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 서명식은 전날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 남궁홍 삼성E&A 대표이사 사장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번 MOU는 '해외 SAF 생산 프로젝트 발굴 및 검토' 'SAF 장기 구매 참여 검토 및 상호 지원' 'SAF 관련 신기술·프로젝트 투자 검토' '대한항공의 삼성E&A SAF 기술 동맹 파트너 참여' 등을 골자로 한다.
삼성E&A는 EPC(설계·조달·시공)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현지에서 추진되는 2세대 SAF 생산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다. 목질계 폐기물을 고온에서 가스화한 뒤 다시 액체연료로 전환하는 '가스화-피셔 트롭시' 기반 2세대 SAF 생산 기술을 적용할 계획이다. 이 기술은 폐식용유 등 제한된 원료만 사용 가능했던 1세대 SAF의 한계를 넘어, 폐목재와 같은 비식용 및 폐기성 바이오매스까지 원료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대한항공은 이곳에서 생산된 SAF를 구매하는 오프테이커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오프테이커는 일정 기간 동안의 생산량을 고정적으로 사들여 신규 에너지 사업 기반을 안정화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해외에서는 델타항공, 에어프랑스, 유나이티드항공, 아메리칸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 주요 항공사들이 이 같은 방식으로 글로벌 SAF 생산 활성화와 공급망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협력으로 글로벌 항공업계의 '탄소중립 2050'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SAF 사용 의무화 등 국제적 환경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선제적인 프로젝트 참여와 지속적인 협력으로 글로벌 SAF 활성화를 도모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비행과 ESG 경영을 실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