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카드사, 국내 회사채 의존도 71.5%…ABS·ESG채권 등 자금조달 다채널화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1010011467

글자크기

닫기

이선영 기자

승인 : 2025. 11. 21. 16:25

국내 시장 변동성에 취약
조달 리스크 분산 필요성
clip20251121161839
한국신용카드학회는 2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카드사가 창출하는 가치와 생태계 혁신'을 주제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콘퍼런스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이선영 기자
국내 카드사들이 조달비용 안정화를 위해 다채널화 전략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산유동화증권(ABS) 확대, ESG채권과 해외 신디케이트론 활용 등 다양한 조달수단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조달비용 절감이 생산적 금융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신용카드학회는 2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카드사가 창출하는 가치와 생태계 혁신'을 주제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는 이날 '자금조달 혁신을 통한 자산운용 효율화'를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서 교수는 "2021년 말 이후 첫 70%대 진입으로 국내 회사채 의존도가 높아졌다"며 "국내 자금 조달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국내 시장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어 안정적 조달 측면에서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카드사의 국내 회사채 의존도는 올해 3월 말 기준 71.5%로, 202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 교수는 국내 회사채 의존도가 높아 국내 금융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적 취약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카드사들이 조달 비용을 절감하고 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자금조달 다채널화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ABS 확대와 ESG채권, 해외 신디케이트론 등을 제시했다.

카드사들의 주요 자산인 카드론, 신용판매 매출채권 등을 기반으로 하는 ABS 발행을 통해조달 금리를 낮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ESG채권 역시 조달 금리를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사회공헌 및 지속 가능한 경영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이미지 구축도 가능하다. 해외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은 국내 시장의 변동성 영향을 줄이고 외화 자본 조달로 자산 포트폴리오 리스크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조달비용 절감을 통해서는 생산적 금융 활성화, 미래 성장산업 투자 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 교수는 "카드사가 회사채, ESG채권, 해외 신디케이트론 등 다양한 조달 채널을 확대하면 조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 개선으로 직결된다"며 "조달 리스크 분산으로 건전성 강화와 시장 신인도 제고에 기여하며, 신규 투자 여력이 확대돼 신사업 진출 및 자 산운용 다변화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 교수는 정부가 회사채·ABS 발행 규제 완화, 레버리지 비율 추가 완화, 디지털화 및 핀테크 협력, ESG·녹색금융 촉진 등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서 교수는 레버리지 한도를 9배까지 점진적으로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면서도,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유동성 커버리지 비율(LCR) 110% 유지를 의무화하는 등 엄격한 리스크 관리 체계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스테이블 코인 사업을 통한 결제시장 경쟁력 제고'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지급결제 측면에서 카드사가 먼저 참여할 기회를 주고 카드망에 탑재할 필요가 있으며 비은행 금융회사도 참여 가능한 구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지급결제 경쟁구도 변화에 대응한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선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