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식의약 AI 대전환③] 인공지능이 만든 식의약 안전망…‘현장·제도·행정’ 재설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2507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11. 25. 06:00

생활형 50대 과제…안전 데이터 재정비
필수약 품절 대응…생산·유통 플랫폼 구축
정부 성과평가까지 AI·정량지표 중심
basic_2024
0402)컷 제작시 유의사항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식의약 안전관리 전반을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으로 전환하는 대규모 구조 개편에 착수했다. 생활 안전을 강화하는 50대 과제부터 의약품 공급망·심사·부작용 관리 체계를 재설계하는 5개년 계획, 정책 운영 방식까지 바꾸는 성과관리 개편이 동시에 추진되면서 식의약 규제 시스템이 '사고 대응형'에서 '예측·사전 차단형'으로 전환하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24일 정부 등에 따르면 식약처는 생활 안전부터 디지털 전환에 이르기까지 현장을 AI 기반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에 한창이다. 앞서 이달 초 공개한 '식의약 안심 50대 과제'가 대표적인 예로, 표면적으로는 작은 생활형 과제처럼 보이지만 식의약 안전의 최전선을 디지털 기반으로 전면 교체하는 기초 작업이 담겼다.

예를 들어 기존 문자 알림보다 늦다는 비판을 받아온 위해식품 회수 정보는 카카오톡 기반 실시간 통보 체계로 바꾸고, 축산물 이물검출 분야는 AI 기술을 직접 투입해 기계·영상 분석으로 주삿바늘·금속 조각 등 기존 검사 방식으로는 놓칠 수 있는 미세이물 탐지율을 높인다. 이밖에 건강기능식품·의약품 병용주의 QR 안내, 긴급도입 의약품 통합 공급 등은 모두 소비자·환자·현장의 '정보 격차'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조정됐다. 이는 향후 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정보 표준화·데이터 구조 정비의 전초작업으로 풀이된다.

생활형 과제가 현장의 디지털 기반을 마련했다면, '제2차 의약품 안전관리 종합계획'은 제도와 구조 자체를 AI 중심으로 개편하는 2단계 작업이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반복된 필수약 부족 사태는 기존 공급망 관리체계가 갖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냈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AI 기반 공급 중단 예측 시스템, 전국 생산·유통 데이터 통합 플랫폼, 빅데이터 기반 부작용 감시(CDM 분석) 등을 중심축으로 설정했다.

특히 공급망 분야에서는 기존의 사후 모니터링을 넘어, '생산·유통·수요'를 동시에 읽어내는 AI 기반 예측 체계를 도입해 위험 신호를 조기에 감지하도록 했다. 이 경우 특정 필수약이 부족해지는 경고를 수 주에서 수 개월 전에 포착할 수 있어, 기존의 '부족 발생 → 수입 대체' 방식에서 벗어나 공급 안정성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식약처의 정책 '작동 원리'가 바뀐 것은 정부가 올해부터 모든 부처의 정책을 국민 체감 중심, 정량지표 중심, AI·데이터 기반 평가로 재편하기로 하면서다. 오는 2026년이 한국 식의약 안전관리 체계가 'AI 기반 예측형 모델'로 전환되는 원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식의약 안심 50대 과제가 성과를 내 국민이 일상에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법령 정비, 행정 조치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국제기준을 선도하는 선진 식의약 정책을 지속 발굴·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