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여 강경투쟁이냐, 외연 확장이냐… 갈림길에 선 국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5010012647

글자크기

닫기

박영훈 기자

승인 : 2025. 11. 24. 17:55

지지율 정체 지적에 전략 조정 필요
내년 지선 앞두고 강경노선 부정적
지도부 조율따라 정국 흐름 판가름
[포토] '대장동 범죄수익환수'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김도읍 정책의장, 나경원 의원 등 참석자들이 24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정책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 주최로 열린 '대장동 범죄수익환수 특별법 제정을 위한 긴급 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송의주 기자
국민의힘이 강경 대여투쟁과 외연 확장 사이에서 최종 결정의 순간을 맞고 있다. 12·3 비상계엄 1년을 앞두고 특검 수사와 사법 이슈가 연이어 터지면서 전략 조정 필요성이 커졌고,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두 노선의 재정비가 불가피하다는 판단도 당내에서 힘을 얻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최근 대여 공세 강화와 단체행동을 통한 조직 결집, 사법 이슈 대응에 방점을 둔 '직진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송언석 원내대표는 국정감사 기간 동안 정부·여당을 향한 공세를 주도했고, 이후에도 의원들에게 장외투쟁 참여를 독려하며 강경 기조 유지 의지를 거듭 확인시켰다. 여권 공세에 주도권을 내주지 않겠다는 계산이 깔린 행보다.

국민의힘은 비상계엄 1년을 앞두고 '당심' 결집에도 속도를 올리고 있다. 지난 2일 부산을 시작으로 다음 달 2일까지 전국 11곳을 도는 '민생회복·법치수호 국민대회'를 가동했고, 지난 9월 장외집회에서 역풍을 맞은 전례를 감안해 규모를 줄이되 현장 민심 청취 비중을 높였다.

장동혁 대표는 창원 행사에서 강경한 대여 메시지를 유지하면서도, 지지율 정체 지적에 "조금 더 인내하고 집중하겠다"며 지도부 내부의 신중 기류도 드러냈다.

당 안팎에서는 강경 대응만으로는 중장기 전략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다. 서울·경기 등 수도권 민심은 장기 대치 구도에 피로감을 보이고 있고, 중도층·무당층 이탈 움직임도 위험수준에 다다랐다고 판단하는 분위기다. 내년 지방선거 최대 격전지가 수도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의 강경 노선만으로는 승부를 장담하기 어렵다는 현실론이 힘을 얻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국민의힘이 두 노선의 균형점을 조기에 찾아야 한다는 조언도 잇따르고 있다.

강경 투쟁은 지지층 결집에는 효과적이지만 외연 확장에는 제약이 뒤따르고, 반대로 중도층 메시지는 선거 전략의 핵심이지만 지나치게 전면화할 경우 강성 지지층의 반발을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도부가 두 축의 속도와 비중을 어떻게 조정하느냐가 향후 정치적 무게중심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양향자 최고위원은 YTN라디오 '김영수의 더인터뷰'에서 "정치는 사실보다 인식의 싸움"이라며 "장동혁 대표의 중도 확장 의지는 분명하지만 메시지가 중도층에 의문을 주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불법 계엄은 이미 당이 인정했고, 헌재 판단과 탄핵도 수용한 만큼 탄핵 논쟁을 반복해 봐야 정쟁만 커질 뿐"이라며 "이제는 사법 절차에 맡기고 민생·미래 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강경 노선을 고수하는 당내 시각도 여전히 뚜렷하다. 사법 리스크가 당 전체로 번질 수 있다는 위기감과, 강경 메시지가 당의 존재감을 유지하고 단기간에 지지층을 결집하는 데 가장 즉각적인 효과를 낸다는 인식 때문이다.

한 야권 관계자는 "당이 흔들리면 중도 확장 이전에 기반부터 무너질 수 있다"며 "최소한의 방어선이 유지돼야 외연 전략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박영훈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