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자오 대변인은 한국에 대한 압박 발언을 입에 올렸다. “중국과 한국은 사드 문제의 단계적 처리에 명확한 공동 인식이 있다”면서 “우리는 한국이 공동 인식을 엄격히 준수해 사드 문제를 적절히 처리하고 중한 관계 발전과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한 것. 사실상 사드의 철거를 요청했다고 볼 수 있다.
자오 대변인은 “미국이 기어코 중국의 이익을 해치면 중국은 반드시 모든 필요한 조치로 단호히 반격할 것이다”라고 언급, 미국이 보안법 제정을 핑계로 홍콩의 특별 지위를 박탈할 경우 중국이 반격에 나설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어 “홍콩의 안정과 번영은 미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면서 보안법 제정 필요성 역시 재차 주장했다.
자오 대변인은 국제사회가 보안법 도입에 우려를 표한 데 대해서도 강한 불쾌감을 표시했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 등 4개국이 공동성명을 발표한 것과 관련, “이들 나라는 중국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했다. 성명에 강한 불만과 반대를 표시한다”면서 “이미 이들 국가에 엄정 교섭을 제기했다”고 밝힌 것. 그는 미국이 보안법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영상회의를 추진하는 것에도 “중국은 미국이 유엔을 인질로 삼도록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