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산사태 징후와 피해 예방책은?…집중호우 인명피해 급증

산사태 징후와 피해 예방책은?…집중호우 인명피해 급증

기사승인 2020. 08. 04. 15:55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전문가 "경사면에서 많은 물이 쏟아지는 등 산사태 전조 징후 미리 알고 있어야"
"산 주변 배수로 설치 여부와 산 경사면 피복 여부 점검 반드시 필요"
KakaoTalk_20200803_143620405
지난 3일 오전 10시37분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산유리 한 펜션에서 매몰 사고가 발생해, 펜션 주인 일가족 3명이 숨졌다./제공=소방청
연일 계속되고 있는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비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토사가 덮쳐 인명피해가 늘어나는 등 산사태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사태 징후를 사전에 점검하고, 폭우가 예보되면 안전한 곳으로 미리 대피해 산사태 피해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4일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이날 오전 10시30분까지 산사태로 7명이 사망하고, 3명이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와 2017년을 제외한 2014~2018년, 산사태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과 대조적인 상황이다. 지난해와 2017년에는 각각 3명과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빈번하게 발생한 산사태가 40일 이상 지속된 장마와 잦은 집중호우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긴 장마로 토양 내에 많은 물이 쌓인 상황에서 여전히 비가 계속 내리고 있다”며 “물이 빠져나가지 않은 채 장마가 지속되면서 산사태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장마기간이 가장 짧았던 2018년(14일)에는 산사태 피해 면적이 56ha(헥타르)에 불과했다. 장마기간이 가장 길었던 2013년(49일)의 산사태 피해 면적은 312ha으로, 2018년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장마는 이날 기준 41일째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장마가 오는 13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보되면서 2013년 기록을 돌파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현재 제4호 태풍 ‘하구핏’이 중국으로부터 북상하고 있어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산사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산사태 징후를 사전에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산 주변에 배수로가 설치돼 있는지 미리 확인하고, 산사태가 발생한 후에는 연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가스나 전기 등을 즉시 차단해야 한다.

산림청은 바람이 불지 않음에도 나무가 흔들리는 것, 계곡물에서 갑자기 흙탕물이 나오는 것, 경사면에서 많은 물이 쏟아져 나오는 것 등을 산사태 전조 징후로 판단하고 있다.

산림청 산사태방지과 관계자는 “최근 이상 기후로 밤이나 새벽에 비가 많이 오면서 산사태도 미리 대처하기 어려운 시간에 발생하고 있다”며 “산지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호우가 예보됐을 때 미리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또한 산 주변에 물길이 설치돼 있지 않거나 산 경사면이 피복돼 있는 경우 산사태가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며 “지자체에 신고를 한다면 미리 도움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정부의 산사태 대비책이 미비해 산사태 인명피해를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수곤 서울시립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정부의 산사태 대비책은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라며 “산사태는 주로 사람이 건드린 산에서 발생하는 만큼 원인을 확실히 규명하고 대책을 세워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산 밑에 위치한 집의 산사태 피해는 당연히 예측할 수 있어야 했다”며 “산사태를 예방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