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에 따르면 그동안의 파프리카는 200g 크기의 종(Bell type)이나 블록(Blocky type) 모양을 가진 파프리카가 대부분을 차지해 요리를 위한 1차 가공용이나 샐러드처럼 신선상태로 섭취하는 생과용으로 널리 소비돼 왔다.
최근 세계적인 경기하락과 맞물린 소비감소로 인해 생산농가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 다행히 몇 년 전부터 30~50g 크기의 고추모양을 가진 미니파프리카가 소개되면서 과일처럼 먹는 비타민C가 많은 기능성 채소로 인식돼 소비확대에 한몫을 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일본 구매업체 요구로 고성지역의 한 농가가 가늘고 긴 모양의 파프리카를 재배해 수출했었는데 일본에서의 소비자 반응이 좋아 재배확대 요구가 있었다.
생산농가에서는 수입품종의 마디가 길고 가늘어 초세가 약해 재배가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과육이 얇아 수확 선별 중에 상처가 잘 생기고 과실 끝이 잘 시드는 문제 때문에 유통에 어려움이 많았다.
경남농업기술원에서는 Golden Seed Project(G.S.P.)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해 왔던 유전자원을 활용해 새로운 조합을 만들고 실증연구를 거쳤으며 올해 자체 종자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바나나형의 파프리카 3품종을 품종보호 출원했다.
기존 수입 품종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저장성 문제에서 과실크기를 30% 정도 줄이고 과육두께를 증가시켜 개선해 과실모양이나 크기가 색깔마다 달랐던 문제점도 극복해 과실의 균일성을 크게 안정시켜 마디길이가 길었던 문제는 초세가 강한 유전자원의 특성을 끌어들여 보완했다.
도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경남의 우수한 품종이 국가의 인정을 받아 세계로 뻗어 나가고 경남도의 농업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주요 과채류의 품종 개발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