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은 18일 입장을 내고 “초안 공개 이후 경제계와 산업계는 2030년까지 우리나라 산업생산의 지속적 증가가 예상되고, 우리 산업의 에너지 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며 획기적인 탄소감축 기술 도입이 어려운 점 등을 제시하며 목표치 조정을 요청했으나 전혀 반영되지 않은 점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탄중위가 발표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는 2018년 대비 40%다. 전경련은 “지난 8일 공개된 초안과 전체 감축 목표와 산업부문 감축 목표가 동일하다”며 “기존 목표인 2018년 대비 26.3% 감축에서 13.7%p가 높아진 것으로 50% 이상 상향된 셈이며, 산업 부문 감축목표는 기존보다 두 배 이상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전경련은 “향후 국무회의에서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가 우리 경제 여건에 맞게 합리적으로 수립될 수 있도록 면밀한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요청했다.
탄중위는 이날 오는 2030년까지 국가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40% 감축하고, 2050년까지는 무조건 ‘넷제로(온실가스 배출과 흡수가 균형을 이루는 상태)’를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8월 공개한 ‘2050시나리오 초안’보다 과감한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