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5대은행, 원리금 유예해준 중기·소상공인 대출 37조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30507010003112

글자크기

닫기

조은국 기자

승인 : 2023. 05. 07. 17:26

전체 중기대출 가운데 6% 차지
9월 코로나 금융지원 종료땐 리스크 수면 위로
은행 연체율 및 NPL비율 등 건전성 지표 악화
대규모 추가 충당금 쌓아 리스크 대비 중
basic_2022
코로나 19 사태로 유동성 위기에 놓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2020년부터 5대 은행이 대출 만기연장과 원리금 상환유예 등의 조치를 실시해왔는데, 현재 37조원가량의 금융지원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대 은행의 전체 중소기업 대출(소호대출 포함) 가운데 6%가 넘는 비중이다.

오는 9월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은행 지원으로 유동성 위기를 넘겨왔던 한계기업들의 부실 리스크가 수면 위로 올라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실제 은행권 연체율과 NPL(부실채권)비율이 상승 국면에 들어간 데다, 상승폭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5대 은행은 경상 충당금 외에 추가 충당금을 적립해 리스크 대응력을 높이고 있고, 지원 대상 기업들이 연착륙 할 수 있도록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이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를 통해 실시한 대출 만기연장과 원리금 상환유예 잔액 규모는 이달 4일 기준 모두 36조6206억원(25만9594건)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까지 5대 은행의 중기 및 소호대출 규모가 605조4036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 중기대출 중 6.05%가 코로나19 금융지원인 셈이다.

만기연장(재약정 포함) 잔액은 34조8135억원이고, 원금 상환유예 규모는 1조5309억원이었다. 또 같은 기간 이자납부를 유예해준 규모는 모두 2762억원이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 중 부실 가능성이 높은 37조원 가량을 5대 은행이 떠안고 있다는 얘기다.

문제는 예정대로 오는 9월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될 경우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대출 만기를 금융권과의 자율 협약에 따라 최장 3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환유예의 경우 최장 1년간 다시 연장했다. 하지만 재연장 없이 종료되면 9월부터는 상환유예 대출부터 지원이 중단되고 상환이 시작돼, 관련 대출이 부실화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고금리 지속에 따른 금융비용 상승과 경기둔화 등으로 은행권 연체율과 부실채권비율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 대한 지원이 종료되면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 비중이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계기업의 부실 위험이 점차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금리 및 비용 상승효과 등을 반영하면 한계기업 비중이 2021년 14.9%에서 지난해 18.6%로 높아질 수 있고, 1년 이내 부도상태로 전환될 확률이 5%를 넘어서는 부실위험기업 비중도 같은 기간 9.3%에서 10.3%로 상승한다고 추정했다.

이에 이들 은행은 경상 충당금 외에 추가 충당금인 경기대응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적립해 손실흡수능력을 높였다. 추가 충당금 규모를 공개하지 않은 우리은행을 제외한 4개 은행에서만 5900억원 가량 쌓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연체율 및 NPL비율이 상승하는 등 금융권 전반에 걸쳐 신용리스크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보수적 기준으로 충당금을 적립했다"고 말했다.

이에 더해 리스크 대응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리스크가 높은 기업들이 연착륙할 수 있도록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부실 가능 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채무상환 능력을 키우는 'KB 기업향상 프로그램'의 대상을 확대했고, 기업 신용개선 프로그램 지원 대상도 늘렸다. 하나은행도 리스크 관리 조직을 만들어 선제적 위험 관리와 취약차주 연착륙 프로그램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조은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