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尹 “반도체는 국가 총력전…26조 ‘종합지원 프로그램’ 마련”

尹 “반도체는 국가 총력전…26조 ‘종합지원 프로그램’ 마련”

기사승인 2024. 05. 23. 11:47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 주재…"지원 70% 이상 중소·중견혜택"
"투자세액공제 연장…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속도 높일 것"
경제이슈점검회의 주재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3일 "금융, 인프라, R&D는 물론 중소·중견기업 지원까지 아우르는 26조원 규모의 '반도체 산업 종합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제2차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반도체는 국가 총력전이 전개되는 분야"라며 이 같이 밝혔다.

윤 대통령은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 세액공제 일몰 연장, 속도감 있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등을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산업은행에 17조원 규모의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할 것"이라며 "올해 일몰되는 투자세액공제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투자에 차질이 없도록 연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세액공제는 R&D와 설비 투자금의 일정비율을 국가가 환급해주는 것으로 보조금이나 다를 바 없다"며 "올해 일몰되는 세액공제를 연장해서 기업이 R&D와 설비투자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윤 대통령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도 속도를 높이겠다"며 "시간이 보조금이고 문제 대응 속도가 가장 중요하다. 특히 전기, 용수, 도로 같은 인프라는 정부와 공공부문이 책임지고 빠른 속도로 조성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송전선로 건설기간을 대폭 단축하는 국가전력망 특별법이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와의 협의도 강화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튼튼하게 하는 데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며 "1조 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조성해 유망 팹리스와 소부장 기업들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미니팹 등 기업들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도 기업이 원하는 수준으로 신속하게 확충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산업 지원이 '대기업 감세'라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세제 지원으로 기업 투자가 확대되고 수익이 늘어나면 국민은 양질의 일자리를 더 많이 누리게 돼 민생이 살아나고 세수도 증가하기 때문에 '반도체가 곧 민생'"이라며 "이번 반도체 산업 종합 지원프로그램의 70% 이상은 중소·중견기업이 혜택을 보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세액 공제로 보조금을 준다고 해서 우리 세수의 결손만 빚어지는 게 아니라 이것이 또 다른 세수를 창출하기 때문에 결국 우리 경제의 규모가 커지고 세수도 더 확충된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전체 시장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시스템 반도체에서 반도체 산업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하며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산업 육성 의지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CPU와 GPU를 넘어서 AI 반도체로 끊임없이 확장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에 우리도 승부수를 던져야 한다"며 "우리 팹리스 시장 점유율은 아직 1% 대 머물고 있고 시스템 반도체 제조하는 파운드리도 TSMC와 같은 선도기업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산업부는 관계부처, 기업과 함께 시스템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하는 획기적인 방안을 내놓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 외에도 윤 대통령은 "앞으로 리스크 사전 점검과 선제적 대응방안이라는 원칙하에 경제이슈점검회의를 수시로 열어서 분야별 각종현안들을 제가 직접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한화진 환경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김주현 금융위원장, 성태윤 정책실장, 박춘섭 경제수석, 박상욱 과학기술수석, 왕윤종 안보실 3차장 등이 참석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