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외는 경영 효율성·재무구조 개선 목적"
|
공정거래위원회가 25일 발표한 '최근 3개월 대규모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이하 대기업) 소속 회사 변동현황(2025년 5∼7월)'에 따르면 92개 대기업 소속 회사는 5월 1일 3301개에서 지난 1일 3289개로 12개 줄었다.
회사설립(신규 25개사·분할 4개사)·지분취득(14개사) 등 사유로 34개 대기업에서 61개 회사가 새로 계열사로 이름을 올린 반면 흡수합병(31개사)·지분매각(11개사)·청산 종결(19개사) 등 사유로 36개 그룹에서 73개사가 계열사에서 제외됐다.
새 계열사가 많이 늘어난 집단은 크래프톤(10개), 네이버(4개), 한화·태광·소노인터내셔널(각 3개) 순이었다. 공정위는 "신사업 추진보다는 기존 주력 사업과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을 인수하는 계열 편입이 활발했다"고 설명했다.
LG는 기존 로봇 사업 시너지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 로봇 개발 기업인 베어로보틱스코리아를 계열 편입했다. 한화는 유통업·외식업을 강화하기 위해 식자재 유통·급식 기업인 아워홈의 지분을 인수해 계열 편입했다.
네이버는 부동산 플랫폼 기업 아실을, 크래프톤은 애드테크·게임 개발 기업인 넵튠 등 10개 사를, 소노인터내셔널은 항공사인 티웨이항공 등 3개 사를 각각 계열사로 편입했다.
반면 계열 제외는 경영 효율성, 재무구조 개선 목적이 많았다고 공정위는 분석했다. 계열 제외된 회사가 많은 집단은 대광(20개), 영원(5개), SK(4개) 순이었다.
SK는 반도체 검사 관련 경영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아이에스시가 자회사 아이티엠티시를 흡수합병해 계열 제외됐다. 포스코는 액화천연가스(LNG)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자회사 엔이에이치를 흡수합병하여 각각 계열 제외됐다.
재무구조 개선 등을 목적으로 카카오는 웹툰 제작사 넥스트레벨스튜디오의 지분을 매각했고, 네이버도 게임 개발사 스튜디오포립의 지분을 매각해 각각 계열 제외됐다.
이외에도 신규 지정 집단 등에서 동일인의 친족 또는 소속회사 임원 지배회사들에 대한 계열 제외 사례도 있었다.
올해 신규 지정된 대광은 임원 지배회사인 명성산업 등 20개 사를, 빗썸은 친족 지배회사인 마태를, 영원은 친족 및 임원 지배회사인 티오엠 등 5개 사를 임원 사임·청산 종결 등의 사유로 각각 계열 제외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디미디어 등 3개 사의 친족 독립경영을 인정받아 계열 제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