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박의원실에 따르면 박 의원은 전날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최재원 부산대학교 총장을 만나 밀양캠퍼스 학과 폐지 등에 강력 항의하고 해당 절차가 '깜깜이'로 진행된 것에 대해서도 강력 질타했다.
이 자리에서 박 의원은 "2005년 당시 기존 학생이 없는 신설 나노학부 밀양 유치에만 혈안이 된 부산대는 산학협력이라는 감언이설로 밀양시와 시민을 기만했다"며 "현재 나노 국가산단에 실제로 나노가 없는 상황에서도 부산대의 역할은 어디에도 없고 최소한의 책임을 확인할 수도 없다"고 말했다.
특히 박 의원은 오늘날 밀양시가 침체하게 된 원초적인 요인을 부산대가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부산대는 지난 4월 부산·양산 캠퍼스에 학과 신설과 학생 수 증원을 위해 밀양캠퍼스 나노과학기술대학 3개 학과를 폐지하는 등의 학제개편 작업을 일방적이고 기습적으로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밀양시 등 지역사회와의 사전 협의나 의견수렴은 전혀 없었다.
박 의원은 "밀양캠퍼스 정원을 줄이고 꼼수를 부리면서까지 비밀리에 진행된 것은 묵과할 수 없는 일"이라며 "또다시 밀양을 기만하고 학생 수를 줄이는 음모를 꾸민다면 부산대는 부도덕한 집단으로 매도되는 것은 물론 지역 갈등을 조장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부산대가 밀양캠퍼스 학과 폐지를 마치 교육부가 승인해 준 것처럼 허위 날조했다는 주장도 펼쳤다. 박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학과의 신설, 통합 및 폐지는 각 학교가 학칙을 통해 정하고 있다. 국립대인 부산대는 학칙에 반영된 정원을 교육부에 사후 보고했다는 것이다. 결국 교육부를 끌어들여 진실을 호도하고 관계기관인 밀양시와 언론까지 기만한 꼴이라는 게 박 의원 주장이다.
2005년 밀양대와 통폐합할 당시 부산대는 4년간 290억원의 예산을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부)로부터 지원받았고, 밀양시는 20년간 진입도로 확장에서부터 국도 58호선(밀양역~삼랑진) 개설, 연구용역 발주 등 900억원에 가까운 경제적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았다.
박 의원은 2005년 부산대에 지원된 290억원의 예산이 어디에 어떻게 쓰였는지 철저히 따지고, 밀양캠퍼스 학과 폐지와 인원 축소 과정에서 위법 부당성은 없었는지 검증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