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수수료 등 비용구조 흔들
지역기반 영세업체엔 타격 우려
"생존권 지킬 제도장치 마련을"
|
주문(앱)부터 결제(시스템)·배달(라이더)까지 전 과정을 배민이 하나의 플랫폼 안에서 통합 운영하는 구조로, 업계 일각에서는 "배민이 배달까지 직접 수행할 경우 중소 대행업체의 역할이 축소될 수 있다"며 시장 재편에 대한 우려를 내놓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배달대행업은 상점 밀집도·주문 시간대·라이더 배치 등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운영이 성패를 좌우한다. 중소 대행업체들은 이러한 현장 밀착형 서비스로 차별화를 유지해왔지만, 플랫폼의 배달 수행 확대가 본격화될 경우 지역 기반 운영 구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변화는 AI(인공지능) 기반 기술 고도화와 물류 효율 개선이라는 산업 전반의 흐름과도 맞물린다. 코로나19 이후 배달 수요가 폭증하며 플랫폼이 축적한 주문·배달 데이터는 방대해졌고, 자동 배차·경로 최적화 등 기술이 발전하면서 배달 수행 비용과 리스크는 과거보다 낮아졌다.
전문가들은 플랫폼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배달 수행까지 플랫폼이 흡수할 경우, 중소 대행업체들이 운영 전략을 전면 재정립해야 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한다. 주문량 변동이 큰 산업 특성상 인건비·유류비 등 고정비 부담이 커 동일한 방식으로 경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박정은 이화여대 교수는 "생활물류는 초기 투자와 운영 비용이 커 중소업체가 동일한 방식으로 경쟁하기에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며 "지역 기반의 세밀한 서비스나 특화 모델을 통해 차별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플랫폼 중심의 시장 영향력 확대 역시 주요 변수다. 배달 산업은 가맹점 수수료·라이더 단가·소비자 가격 변화에 민감한 시장이기에, 특정 사업자의 영향력이 커지면 전체 시장 구조에도 변동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수진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은 "플랫폼이 주문부터 배달까지 직접 관여하게 되면 시장 내 영향력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가격 통제권이 플랫폼에 집중되면 소비자 선택권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플랫폼 확장 속에 중소 대행업체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중소 배달대행업체 관계자는 "플랫폼 확장 속도가 너무 빨라 중소업체가 대응할 시간이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