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법률전문 비정부민간기구(NGO)인 법률소비자연맹이 발표한 민선5기 기초단체 공약이행률 정밀평가결과, 인천지역 9개(5대공약 등재 안된 옹진군을 제외한 숫자) 기초단체 공약이행률 평균은 전국 평균(66.56%)에 훨씬 못 미치는 61.82%에 그쳤다. 최저치를 기록한 광주(61.27%) 다음이다.
부산지역 16개 기초단체의 공약이행률 평균은 68.31%로, 인천을 훨씬 앞섰다. 광역단체 중 8위다. 일단 기초단체 공약이행률로는 부산이 인천을 압도하는 모습이다. 공교롭게도 부산지역 기초단체장들은 몇몇 무소속 단체장을 제외하고 새누리당 일색이고, 인천지역은 야당 일색이다.
부산이 인천을 앞서기는 했지만 결코 좋은 성적은 아니다. 전국 평균(66.56%)을 간신히 넘는 수준이다. 자치도를 제외하고 광역시와만 비교해도 뒤로 처진다. 대구는 기초단체 공약이행률 평균이 74.40%로 전국 1위, 울산은 68.97%로 전국 5위, 대전은 68.90%로 6위였다.
부산·인천의 낮은 공약이행률은 실제 추진된 공약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0~5점으로 나뉘어진 평가에서 예산이 배정되고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있다면 3점 이상을 받았다. 실행계획조차 없는 공약이 많았다는 이야기다. 부산은 전체 322개 공약(公約) 중 추진 실적이 없어 0점 평가를 받은 이른바 ‘공약(空約)’만 32개였고, 인천은 386개 중 38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