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가동중단 기간 제외하고 20년 연장 허용
글로벌 평균 '20년'인 반면, 우리나라는 '10년'
전문가 "중단기간 제외, 연장 기간 늘려야"
|
14일 업계에 따르면 신규 원전을 건설하는 것보다 원전을 계속운전하는 것이 72배 이상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한국수력원자력이 수주한 체코 원전의 경우 한 호기당 12조7000억원 수준인 반면, 계속운전에 필요한 설비투자 비용은 한 호기당 약 2000억원이다. 단순 비교할 경우 72배 차이가 난다. 계속운전을 할 경우 2000억원을 투입해 최소 10년 이상 원전을 돌릴 수 있는 셈이다. 실제 고리2호기에 들어간 설비투자비용은 1758억원, 고리3·4호기는 5993억원으로 집계됐다.
미국·프랑스·영국·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전원으로 '원전'을 꼽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원전의 필요성을 인정한 셈이다. 특히 이들은 계속운전에 대한 제도개선을 통해 원전의 가동을 확대하고 있다. 프랑스는 5월 말 녹색채권 프레임워크를 개정해 원전을 공식적으로 포함시켰다. 녹색채권으로 조달된 자금을 통해 기존원전의 계속 운전 및 신규원전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탈원전 기조를 내세웠던 일본도 방향을 바꿨다. 지난달 일본은 'GX 탈탄소전원법'을 시행했다. 이 법은 계속운전 기간을 20년으로 하되, 심사기간 등 운전을 중단한 기간은 운전기간에서 제외한 것이 주 골자다. 즉 기존 상업운전 40년을 더하면 원전의 수명이 60년 이상으로 늘어난다.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계속운전 기간은 통상 20년인 반면에 우리나라만 10년에서 멈춰있다는 것이다. 특히 설계수명 만료 전 신청을 했어도 심사하는 데 오랜 심사 기간이 걸리면서 원전은 가동을 멈추게 된다. 과거 월성 1호기의 경우 인허가 과정에만 62개월, 즉 5년의 시간이 소요됐다. 현재 고리2·3호기는 계속운전 승인을 기다리는 사이 운영이 종료됐다. 개점휴업인 셈이다. 향후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아진다면 블랙아웃(대정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수원은 고리2·3호기를 비롯해 △고리 4호기 △한빛 1·2호기 △한울1·2호기 등 7개 호기가 계속운전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월성 2·3·4호기도 계속운전 신청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설비개선에도 상당한 기간이 소요돼 10년의 계속운전 인허가를 받아도 10년을 온전히 가동하지 못하고 3~4년만 가동할 수 있다. 앞서 월성 1호기는 설비교체만 7년이 걸리면서, 3년채 가동하지 못했다. 따라서 전문가는 계속운전 기간에서 가동이 중단된 기간을 제외하고, 계속운전 기간도 20년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앞서 윤석열 정부에서 원전산업지원특별법 제정 등 이같은 제도개선을 추진했지만 현재 올스톱된 상태다.
노동석 서울대 원자력정책연구센터 연구위원은 "적어도 일본만큼 계속운전에 대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20년 동안 충분히 안전하게 쓸 수 있다는 확신이 있다면 20년을 안할 이유가 없다"며 "설비 투자를 통해 10년을 가동하는 것보다 20년을 가동하는 것이 경제적 측면에서도 훨씬 우위에 있다. 미국 역시 20년씩 2회 연장이 가능하면서 총 80년 운영허가를 내주고 있다. 새로 지을 것이 아니라면 경제적으로 고려했을 때 계속운전 기간을 20년으로 연장하고, 재가동 준비 기간 역시 제외해야 한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