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란 특검팀은 12·3 비상계엄 전후 열린 국무상황을 확인하고자 조 전 장관을 소환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름을 받고 대통령실로 들어가 비상계엄 선포 사실을 알게 됐고, 이를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 전 장관이 검찰 틀별수사본부에 진술한 내용에 따르면 조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오후 7시 54분께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금 어디 계시냐. 용산 집무실로 바로 올 수 있느냐"는 전화를 받았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이 "도착하시면 부속실장이 안내할 것이다. 부인께도 말씀하시지 마시고 오세요"라고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의 접촉 문제인 줄 알고 들어갔다고 한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등이 모인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이 A4용지를 건네주며 "비상계엄을 선포하려 한다"고 말했고, 여기에는 재외공관이 무엇을 하라는 식의 문장이 쓰여 있었다는 게 조 전 장관 진술이다.
조 전 장관은 당시 윤 전 대통령에게 "외교적 영향뿐만 아니라 70여년간 대한민국이 쌓아온 모든 성취를 한꺼번에 무너뜨릴 만큼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이니 재고해 달라"고 요청했다.
윤 전 대통령은 "내 개인을 위해서 이렇게 하는 거라고 생각하느냐. 이 자리에 있어 보지 않으면 모릅니다"라고 말했다는 게 조 전 장관 설명이다.
결국 비상계엄 선포는 강행됐고, 대통령실을 나서려는데 용산 대통령실 직원으로 보이는 사람이 참석자 서명을 해달라고 얘기해 거부했다고 조 전 장관은 진술했다.
내란 특검팀은 조 전 장관을 상대로 지난해 12월 5일께 외교부 부대변인이 외신 기자들에게 계엄의 정당성을 알리는 PG(프레스 가이던스·언론 대응을 위한 정부 입장)를 배포한 경위도 확인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