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급증하는 ‘기관 사칭’ 구매대행 사기…“구제 방법 없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0010011417

글자크기

닫기

배석원 기자

승인 : 2025. 07. 20. 16:48

'물품구매 사기' 수법 갈수록 정교화
"주문하겠다며 계약 유도 링크 보내와"
기관 사칭형 사기 피해구제 방법 '부재'
제목을-입력해주세요__복사본-_21_-001
기관 사칭·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공지
최근 공무원 등 기관 직원을 사칭한 물품구매대행 사기가 잇따르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0일 현재 한국가스공사는 홈페이지에 "최근 공사 직원을 사칭해 지역 업체의 물품을 주문하려는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며 "비슷한 사례 발생 시 해당 부서에 반드시 확인해 달라"는 공지를 올렸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꿀이나 참기름, 형광조끼 등을 주문하겠다며 계약 링크를 보내오는 방식이다. 가스공사 감사실은 지난 9일부터 현재까지 총 7건의 피해 사례를 인지한 후 경찰에 신고하고 각 본부에 피해 예방 공지를 내린 상태다. 가스공사 측은 "아직 실제 송금으로 이어진 피해 사례는 없다"는 입장이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국민생각함에는 경기 양주시에서 간판 제조업을 운영 중인 A씨의 피해 사례가 올라와 있다. 지난 16일 양주시청 도시계획과 주무관을 사칭한 일당에 속아 2500만원의 피해를 입었다는 그는 "노후간판 교체 사업으로 철저하게 공공기관 거래처럼 위장해 속을 수밖에 없었다"며 "제도상 보이스피싱으로 분류되지 않으면 계좌 정지는 물론 피해구제도 받을 수 없다. 공무원·공공기관 사칭형 물품구매대행 사기를 보이스피싱 범죄로 분류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처럼 기관을 사칭해 물품구매대행 방식으로 금전을 가로채고 잠적하는 사기가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가짜 공문서부터 거래명세서 등을 활용하는 등 수법도 교묘해지고 있어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올 1분기 기준 보이스피싱 피해는 총 5878건으로, 이 가운데 기관사칭형 범죄가 2991건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1%나 급증한 수치다. 물품구매 사기 외에도 △분리수거 위반 과태료 부과 △건강검진 진단서 발급 문자 등을 보내 악성 앱을 설치하는 등 기관 사칭 스미싱 사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도 스미싱 문자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피해 예방 외에는 공공기관 차원의 대응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7월 초부터 관련 민원이 하루 5~10건씩 꾸준히 접수되고 있다"며 "환경부는 과태료 부과와 관련해 어떤 링크도 문자로 보내지 않으니, 문자를 받더라도 클릭하지 말고 불법스팸대응센터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21일부터 시작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한 스미싱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관계 기관도 피해 예방을 위해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속 인터넷주소는 클릭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악성 URL 긴급 차단 체계 운영 △118 상담전화 집중 운영 등 피해 예방 대응 체계를 가동한 상태다.
배석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