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천안시의회에 따르면 최근 김 의장과 일부 의원은 장 의원 징계 요구안을 시의회사무국에 제출했다.
장 의원은 앞서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 위해시 문등구와의 해외연수 계획은 밀실에서 졸속 추진된 것"이라며 "언론 보도가 시작되자 황급히 취소했지만 위약금 문제가 발생해 시민 부담만 늘었다"고 비판했다.
장 의원 "지난 2022년 튀르키예 초청연수 무산으로 소송까지 진행 중인데 이번에는 '셀프초청' 의혹까지 더해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의장단은 장 의원의 이 같은 문제 제기가 "허위사실 유포로 시의회 명예를 훼손했다"며 징계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시의회 안팎에서는 "반복된 예산낭비와 권한남용을 고발한 의원을 징계하려는 것은 명백한 보복 조치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거세다.
김 의장은 지난 5월 휴일에 운전기사를 대동해 관용차를 이용해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참석한 사실이 드러나 물의를 빚은 바 있다. 당시 그는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공용 주유비 및 통행료가 예산에서 지출된 사실이 밝혀지며 '거짓 해명' 논란까지 확산됐다.
당시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이 김 의장 징계 요구안을 제출했지만 김 의장은 한 달이 넘도록 윤리특위에 회부하지 않고 버티다가 끝내 없던 일이 되었다.
이후 윤리심사 자문위원 7명 전원을 김 의장이 임명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시의회의 공정성과 견제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일명 '셀프 심사', '셀프 면죄부'라는 비판이 쏟아진 배경이 됐다.
여기에 김 의장은 다음 달 북유럽 출장을 계획하면서 공무국외출장 심사 절차조차 생략해 또다시 조례 위반 의혹에 휩싸였다.
한 시의원은 "수차례 불·탈법 논란을 일으킨 의장이 정작 내부 문제를 고발한 동료 의원부터 징계하려 드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