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대만 “20% 관세율은 ‘임시 조치’… 더 낮은 수준 조정 위해 협상할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1010000359

글자크기

닫기

김도연 기자

승인 : 2025. 08. 01. 16:34

기존 32%보다 낮지만, 한국·일본·EU의 15%보다는 높아
PARAGUAY-TAIWAN/
라이칭더 대만 총통/로이터 연합뉴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은 1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만산 제품에 부과한 20% 관세율은 '임시 조치'라며, 더 낮은 수준으로 조정하기 위해 협상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라이 총통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20% 관세율은 대만이 목표로 한 수준이 아니다"며 "정부는 협상을 계속해 대만에 더 유리한 관세율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만 경제의 핵심 산업이자 미국의 대(對)중국 기술 우위 유지에도 중요한 반도체, 전자제품,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세부 관세율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음을 상기시켰다. 현재 이들 품목은 미국의 '1962년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국가안보 조사를 받고 있다.

라이 총통은 "조사 결과가 나오면 협상단이 즉시 추가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하워드 루트닉 미국 상무장관도 지난달 27일 "2주 안에 조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미국 현지시간) 행정명령을 통해 다수 교역국을 대상으로 10~41%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대만에 대한 20% 관세율은 4월 당시 예고됐던 32%보다 낮지만, 일본·한국·유럽연합(EU)에 적용된 15%보다는 높다.

미국과 대만 정부 자료에 따르면 대만은 지난해 미국과의 무역에서 약 740억 달러(약 103조 8800억 원)의 흑자를 기록하며 미국의 여섯 번째로 큰 무역 적자국이었다.

대만에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이자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제조업체인 TSMC를 비롯해 다수의 반도체 기업이 있다. TSMC는 엔비디아와 애플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지난 3월 백악관에서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김도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