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합동수사팀에도 인력 파견
대형 참사 피해자 2차 가해 예방 조직도
|
박성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4일 정례기자간담회에서 "(산업재해 전담 수사팀 관련해) 본청에 전국 수사를 지휘할 수 있는 체계를 신설하려 한다"며 "각 시·도청 형사기동대엔 전담수사팀을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고용노동부와 수사 협력체계가 긴밀하게 이뤄지는 게 중요한 부분"이라며 "어떻게 협력을 강화할지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는 이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산재 사망사고에 대한 수사기관의 전담팀 구성을 지시하면서 이뤄졌다. 일주일도 지나지 않아 이행된 것이다.
경찰은 이 대통령이 지시한 '이태원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합동수사팀'도 구성 중이다. 경찰은 지난달 30일 경정 1명을 파견한 상태로 실무자 11명을 추가 모집하고 있다.
수사팀은 이 대통령이 같은달 16일 이태원·무안 여객기·오송 지하 차도 참사 등 유가족을 만난 뒤 경찰·검찰 조사단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만들어졌다.
이 대통령은 같은날 대형 참사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2차 가해를 막기 위한 조직을 만들라고 했는데, 이 역시 국수본에 총경급을 팀장으로 한 19명 규모의 전담 수사팀이 설치된 상태다.
박 본부장은 이날 캄보디아의 비협조로 한국인 보이스피싱범 송환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해선 "외교부와 다각도로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류희림 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의 '민원 사주' 의혹 수사 결과에 대해 "강제수사를 하려고 했었는데 신청한 영장이 청구가 안됐다"며 "검찰의 보완 요구를 세 번 정도 있었다"고 얘기했다.
이어 "여러 제한된 상황에서도 충분히 최선을 다해서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