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데이터허브, 신한·KB·우리은행 앱에서 가능
|
시는 청년들이 미래 금융·경제상황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청년 금융 타임머신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 협력을 통해 청년맞춤형 금융서비스를 구현한 첫 사례다.
시 관계자는 "취업·결혼·출산·독립 등 인생의 중요한 이벤트가 모두 경제적 부담과 직결되고 있는 가운데, 청년들은 그동안 자신의 재무 상태가 어떻게 변할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며 "데이터 기반으로 향후 재무 상태를 보여줌으로써 실질적인 준비와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이번 서비스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이 서비스는 만 19~39세 청년이면 '서울 데이터허브'와 신한은행 'SOL', KB국민은행 '스타뱅킹', 우리은행 'WON뱅킹' 앱에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나이·소득·직업·자산 보유 여부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5년 후 금융, 경제 상황을 예측해서 보여준다. 결과는 청년 340만명의 금융데이터를 기반으로, 2018년 당시 동일 조건을 가진 집단의 5년 후 평균 소득, 저축, 대출, 자산 규모를 알려주는 방식이다.
특히 시와 금융기관, 핀테크기업 앱과 연동돼 건전한 금융 상황 유지를 위한 민간상품과 청년지원정책도 안내받을 수 있다.
시는 서비스 정확성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청년 금융 데이터베이스를 매년 갱신하고, 이용자 수·정책 연계 효과·금융상품 이용 현황 등을 핵심 성과 지표(KPI)로 설정해 관리할 방침이다.
아울러 민간 금융사와의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카드사·핀테크 기업 등 다양한 마이데이터 사업자와 연계를 늘려 청년 맞춤형 금융 서비스 생태계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강옥현 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앞으로도 민간과 협력해 청년이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