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성동구, 자치구 첫 ‘통합돌봄국’ 신설…돌봄 정책 새 틀 만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31010015369

글자크기

닫기

박아람 기자

승인 : 2025. 08. 31. 14:11

개별 부서에 흩어진 돌봄 기능 하나로 통합
지역 맞춤형 돌봄체계 구축 본격화
0831 송정 스마트헬스케어센터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송정 스마트헬스케어센터에서어르신들의 근력 관리 방법을 살펴보고 있다. /성동구
서울 성동구가 국 단위 '통합돌봄국'을 신설한다. 복지·보건·주거 등 부서별로 흩어져 있던 돌봄 기능을 하나로 묶어, 주민이 살던 곳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구는 오는 10월 1일부터 국 단위 통합돌봄 정책 전담 조직인 '통합돌봄국'을 별도 신설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조직 신설은 정부의 국정과제인 '지금 사는 곳에서 누리는 통합돌봄'을 지역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내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복지국에 돌봄 업무를 추가하거나 통합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통합돌봄 정책을 전담하는 조직을 별도 설치한 것은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구가 처음이다.

통합돌봄국은 통합돌봄과, 어르신복지과, 장애인복지과, 희망복지과로 구성됐다. 복지·보건·주거 등 개별 부서에 흩어져 있던 돌봄 기능을 하나로 통합해, 어르신·장애인·고립가구 등 다양한 대상자를 아우르는 맞춤형 돌봄 정책을 총괄·연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구는 의료·요양·돌봄·주거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지역 기반 돌봄 모델도 구축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주민 누구나 살던 곳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지역에 선정된 구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해 '성동형 통합돌봄 지원 사업'을 중점 추진 중이다. 현재 60세 이상 구민과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사근동·송정동에서 '스마트헬스케어센터'를 운영 중이며, 9월에는 왕십리제2동·금호1가동에도 추가 개소할 예정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통합돌봄국 신설은 단순한 조직 확대가 아니라 정부의 국정과제를 자치구 현장에서 적극 실행하는 의미 있는 시도"라며 "성동구민이 지금 사는 곳에서 안심하고 돌봄을 누릴 수 있도록 지역 특성에 맞는 선도적인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박아람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