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노조, 주말 특근 파업 결정
업계 "경영위축… 정부 중재 필요"
|
1일 전국금속노조 현대자동차지부 관계자는 이번 파업과 관련해 "지난달 열린 19차 교섭에서 사측이 1차 제시안을 내놨지만 노조의 요구와 비교했을 때 턱없이 부족했다"면서 "이미 노조는 1차 쟁의 회의에서 주말 특근 파업에 대한 결정을 내렸고 2일 열리는 2차 쟁의 회의에서 파업 수위를 결정하고 총파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사측은 지난달 29일 열린 노사 간 교섭에서 2025년 경영목표 달성 성과금 300% 외 500만원 지급, 2025년 하반기 위기극복 격려금 50% 외 100만원 지급, 2025년 글로벌 자동차 어워즈 수상 기념 격려금 400만원 외 자사주 10주 지급을 제시했다.
이동석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은 "여러 쟁점이 남아 있는 상황이나 국면전환을 하는 의미에서 (협상안을) 제시했다"면서 "교섭은 회사와 노동조합이 만나 소통해서 타협점을 찾는 것이지 한쪽이 일방적으로 부족하다고 몰아치는 것은 아니다. 이해의 폭을 넓혀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현대차 노조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가 올해 사측에 제안한 요구안에는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전년도 순이익의 30% 성과급, 정년 64세까지 연장, 주 4.5일제 도입, 상여(통상임금) 상향 등이 담겼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의 요구를 다 들어주면 현대차의 경영 악화는 불 보듯 뻔하다"라며 "이재명 대통령도 노란봉투법에 대해 상생을 위한 법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노조도 상생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조선업계도 총파업을 예고하며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HD현대중공업 노조는 지난달 도출된 임단협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투표에서 부결되자, 2일부터 부분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또한 노조는 최근 이뤄진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의 합병에 대해 사측이 일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면서 고용안정 협약과 세부 자료 공개를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노조는 합병에 따른 국내 물량·일자리 축소와 전환배치 가능성을 우려하며 사측에 서면 보장을 요구 중이다. 오는 3일에는 조선 3사 노조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이에 대한 파업 수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에 산업계에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노란봉투법이 통과된 이후 산업계의 경영활동이 위축되고 있다"면서 "경영이 위축되면 투자가 줄고, 생산량이 감소한다. 이는 사실 노조원들에게도 부정적 영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정부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 역시 노란봉투법 통과 이후 산업계에서 노조의 파업 예고가 잇따르자 중재 움직임을 보였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 한 달을 맞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경영계 입장에서는 불확실성을 걱정하고, 노동계에서는 기대가 큰 분위기도 잘 알고 있지만 크게 기대할 것도 우려할 것도 없다고 본다"며 노란봉투법에 대한 확대 해석 경계와 노사정의 협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