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측 "경찰 수사 통해 확인될 사안"
|
21일 KT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인증 시간 기준 피해 지역 자료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서울 금천·영등포, 경기 광명·부천·과천, 인천 부평 등 외에도 동작구와 서초구, 고양시 일산동구 등이 추가로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지역이 늘어나면서 소액결제 이용자 전수조사와 수사 확대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피해 현황이 계속 확대되는 배경에는 KT의 소극적인 대응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KT가 해킹범이 피해자 휴대전화로 갔어야 할 자동응답전화(ARS) 신호를 탈취해 소액결제에 성공한 사례에만 주목하고 피해 집계를 ARS 수신 기록에 한정해 집계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톡 무단 로그인 등 ARS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은 피해 사례는 조사에서 누락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KT 측은 "현재 확인된 피해 지역은 실제 결제가 이뤄진 장소가 아니라 시스템상 추정 위치에 불과하다"며 "최종 범행 장소와 경로는 경찰 수사를 통해 명확히 확인될 사안"이라고 전했다.
KT는 무단 소액결제 피해를 입은 고객들에 대한 대응과 관련해 "현재까지 자체적으로 파악한 모든 고객에게 개별 안내를 완료했다"며 "피해 사실을 직접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9월 4일과 5일 발생한 추가 피해와 관련해서는 "9월 5일 새벽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즉시 차단한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