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25 금융대상] IBK기업은행, 위기 회복 넘어 글로벌 도약…‘중기 금융안전판’ 확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4010013667

글자크기

닫기

임우섭 기자

승인 : 2025. 09. 26. 06:00

은행부문 기업상생 최우수상
기업은행 2025년 시무식
김성태 IBK기업은행장./IBK기업은행
금융대상 로고
IBK기업은행이 위기 회복을 넘어 글로벌 도약으로 나아가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금융 안전판 역할을 넓혀가고 있다. 김성태 은행장은 2023년 1월 취임 이후 위기 극복 지원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자금 공급과 시장 안정화에 주력해 왔다. 최근 기술기업의 해외 진출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까지 아우르는 전략을 강화하면서, 국책은행으로서의 책무를 실질적으로 수행하고 있다는 평가다.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의 최우선 과제는 생존이었다. 기업은행은 올해 상반기 11조30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대출을 추가로 공급하며 은행권 전체 중기대출 증가액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전체 시장 규모가 1000조원을 넘어서는 상황에서 24.4%라는 기록적인 점유율을 달성한 셈이다.

특히 기업은행은 지난 10년간 정책자금 12조9000억원, 자체 특화상품 18조2000억원 등 총 31조원을 유동성 위기에 처한 소상공인에게 투입했다. 이 중 초저금리(연 1.5%) 대출은 누적 공급액만 10조1000억원에 이른다.

이제 기업은행은 국가 위기 극복을 넘어 도약 국면에 맞춰 창업·혁신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고 있다. 'IBK창공' 플랫폼을 통해 서울·부산·대전 등 6개 거점에서 1000개 스타트업을 발굴했으며, 올해는 'IBK창공 광주' 개소에 이어 'IBK창공 대구' 출범도 앞두고 있다.

또한 중소·중견·대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사다리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보증기관과 1조원 규모 협약을 체결해 특례보증부 대출을 지원하고, 1700억원 규모의 민관 합동펀드를 조성해 모험자본 공급도 병행한다.

해외 진출 지원은 글로벌 금융 파트너 전략의 핵심이다. 실리콘밸리에 설치한 'IBK창공 해외 데스크'와 폴란드·베트남 현지 법인을 통해 현지 금융 서비스 및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해외 지점과 현지 법인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해외진출 BOX'를 통해 국가별 실무 정보, 지원제도, 현지금융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성태 행장은 "기술 보유 기업이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성장하고, 그 기업이 일자리를 창출하며 세계로 뻗어나가는 선순환 구조가 곧 지속가능한 선진국의 모습"이라며 "기업은행은 기술기업 생태계의 허브로서 글로벌 경쟁력과 혁신 성장을 뒷받침하는 든든한 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로고
IBK기업은행
임우섭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