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은행은 올해 금융권 최초로 그룹 공동 생성형 AI 플랫폼 'KB GenAI 포털'을 오픈했다. 이를 통해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으며, 초급 단계의 노코드(No-Code)부터 고급단계인 전문 개발자(Pro Developer)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갖춰졌다. 특히 영업현장 밀착형 AI 에이전트를 우선 도입해 일하는 방식과 금융서비스 혁신을 동시에 촉진했다.
영업현장에는 PB(프라이빗뱅커), RM(기업금융 담당자) 전용 에이전트를 도입했다. 고객의 투자 성향과 시장 동향을 종합 분석해 맞춤형 상품과 포트폴리오를 제안할 수 있도록 설계돼, 단순 반복업무 부담을 줄이고 상담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직원용 생성형 AI 챗봇을 도입해 상담 정확도와 속도를 대폭 향상시켰다. 작년 11월 금융위원회에 혁신금융서비스로 생성형 AI 서비스가 지정됨에 따라, 기존의 ML(머신러닝) 챗봇에 생성형 AI를 결합했다. 이를 통해 직원들은 업무규정·지침·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신속하고 정확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국민은행은 내부 AI 기술의 상용화와 내재화도 추진하고 있다. 문서 OCR, 텍스트 분석 등 내부 개발 AI 기술을 부수업무로 공식 지정해 상용화를 허용받으면서, 기술 확산과 내재화 기반을 마련했다.
국민은행은 AI의 윤리적 활용을 위한 전략 수집 및 의사결정 등을 위해 'AI윤리위원회'를 설치했다. 위원회는 고위험 서비스 승인, 윤리기준 및 위험관리 정책 수립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AI 거버넌스는 지속가능한 AI기술 도입과 금융소비자 보호를 중점으로 수립됐다"며 "AI 거버넌스를 통해 금융 혁신을 선도하는 AI 활용 모범 사례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