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주요 AI·디지털 정책·협력 사례 공유도
|
과기부는 29~30일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개최되는 G20 디지털경제 장관회의 및 AI 태스크포스(TF) 장관회의에 참석했다고 이날 밝혔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정상 간 협의체로 출범한 G20에서 의장국은 정상회의에 앞서 약 20개의 장관급 회의를 개최한다. 올해 의장국인 남아공은 AI TF를 신설·운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경제 장관회의와는 별도로 AI TF 장관회의가 추가로 개최된다.
장관회의에는 21개의 회원국과 9개의 초청국, 유네스코(UNESC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 국제기구의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날 개최된 G20 디지털경제 장관회의에서는 △보편적이고 공평한 디지털 포용 △디지털 전환을 위한 디지털공공인프라 △중소기업 잠재력을 촉진하는 디지털 혁신생태계 △공평하고 포용적이며 신뢰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AI를 주제로 각 국의 정책 사례를 공유하고 협력 방향을 논의했다.
30일 개최되는 G20 AI TF 장관회의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데이터 거버넌스, 포용적 AI 활용 방안 등을 모색하고, 각국의 사례를 공유한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AI가 미치는 영향과 아프리카를 위한 AI 이니셔티브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과기부는 회의에서 글로벌 디지털경제가 직면한 다양한 과제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모두의 AI 프로젝트'와 'AI 고속도로 구축 프로젝트', '디지털 포용법' 등 한국의 주요 AI·디지털 정책을 소개했다. 또 지난 8월 개최된 'APEC 디지털·AI 장관회의'와 지난해 'AI 서울 정상회의' 등 한국이 주도한 디지털·AI 국제 협력 사례를 공유하며 '혁신, 포용, 안전'이라는 균형적인 글로벌 AI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회의의 논의 결과는 장관선언문으로 구체화해 채택될 예정으로,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코로나19 이후 가속화된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포용 정책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이번 장관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은 회원국의 협의를 거쳐 향후 개최될 '2025 G20 정상회의' 정상선언문에 반영될 예정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한국은 AI 혁신을 통한 성장을 추진하는 동시에 그 혜택을 국민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모두의 AI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과 이를 통한 번영을 이루기 위해 G20 국가들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