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총리 직속 과학기술·AI정책협력관 신설
AI 전담부서 국(局)→실(室) 확대 및 강화
|
과기부는 정부 조직개편 결과를 반영한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이 국무회의에 심의·의결됨에 따라,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새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AI 3대 강국 도약'의 성공적 이행을 뒷받침하고 정부, 민간, 지방자치단체의 자원과 역량을 결집해 국가 AI 혁신을 주도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과기부는 부총리 직속으로 '과학기술·AI정책협력관(국장급)'을 신설하고, '과학기술·AI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해 범부처 리더십을 한층 강화한다. 새로운 회의체는 단순한 안건 처리형 회의가 아닌, 부총리 총괄·조정하에 국가적 노력 경주가 필요한 아젠다를 기획하고 공유해 전부처의 노력을 원팀으로 묶는 실질적인 협력 플랫폼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또 기존 국(局) 단위였던 AI 전담부서(AI기반정책관)를 'AI정책실(室)'로 확대·강화한다. 산하에는 AI정책기획관과 AI인프라정책관을 둔다.
AI정책실은 국가 AI 정책을 기획·실행하는 핵심조직으로서, 국가 생태계를 조성하고 범정부 차원의 혁신을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AI정책기획관은 AI 산업 육성과 안전·신뢰 확보를 위한 국가 정책과 법·제도를 설계하고, 인재 양성 기능에 주력한다. AI인프라정책관은 AI컴퓨팅 자원·데이터·클라우드 등 핵심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산업·지역의 AI 활용 및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책적 노력들과 정책효과를 언론과 국민에게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현재 국장급인 대변인 직위를 실장급으로 상향한다. 부총리 부처로서 달라지는 미디어 환경에 맞추어 전문적이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과학기술과 AI 분야를 일반적이고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역할과 소통을 강화할 예정이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은 "이번 조직개편은 단순한 정부조직의 변화가 아니라, 과학기술 및 AI로 국민의 삶은 물론 우리 경제·산업 전반에 구조적 변화를 이끌 국가적 대전환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새롭게 부여받은 부총리 역할을 무거운 책임감으로 받아들이며, 국민 모두가 AI의 혜택을 누리는 AI 기본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경쟁에서 확실한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이끌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