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마이크론 밀착 대응”…한미반도체, 싱가포르서 신규 법인 설립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2010000949

글자크기

닫기

연찬모 기자

승인 : 2025. 10. 02. 10:45

한미싱가포르 오픈식
한미반도체 곽동신 회장(가운데)과 임직원이 2일 한미싱가포르 오픈식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한미반도체
한미반도체가 싱가포르 우드랜즈에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핵심 고객사인 마이크론에 밀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2일 한미반도체에 따르면 신규 법인 마이크론의 생산 확대에 발맞춰 숙련된 엔지니어를 배치해 즉각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한미반도체는 대만 현지법인을 통해 타이중에 위치한 마이크론에 밀착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마이크론은 대만에 이어 싱가포르를 주요 HBM 생산 거점으로 육성 중이다. 마이크론은 싱가포르에서 낸드플래시를 생산하고 있으며, HBM 생산 확대를 위해 우드랜즈 지역에 70억 달러(약 10조원)를 투자, 올해 1월 첨단 패키징 시설을 착공했다. 신규 팹은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HBM을 생산할 예정이다.

싱가포르에는 마이크론 외에도 글로벌파운드리(미국), UMC(대만), ASE(대만), 인피니언(독일),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VSMC(대만·네덜란드 합작) 등 다수의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전 세계 반도체 생산량의 10% 이상, 웨이퍼 생산량의 5%를 차지하는 글로벌 반도체 허브다. 싱가포르 정부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약 180억 달러(약 20조 원)를 반도체 산업에 지원하고 있어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가 활발하다.

곽동신 한미반도체 회장은 "한미싱가포르 현지 법인을 통해 숙련된 전문 엔지니어가 마이크론에 최상의 밀착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한미반도체는 이번 싱가포르 법인을 비롯해 2016년 한미타이완, 2017년 한미차이나, 2023년 한미베트남 등 총 4개 해외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연찬모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