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취재후일담] 정부 지원 기다리는 철강업계, 석화 전철 밟지 않으려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02010000962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10. 02. 12:40

EU, 수입산 철강 관세 인상 추진
관세 부담·기업간 경쟁 등 부담↑
업계 "정부 차원 지원책 절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현대제철
석유화학업계와 비슷한 듯 다른 업계가 한 곳 더 있습니다. 바로 철강입니다. '중국의 공급 과잉'이라는 가장 큰 공통된 사안이 있지만 사실 어느 측면에선 상황이 더 안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 관세 부과와 친환경 전환 부담, 심지어 유럽의 고관세 예고까지 다양한 과제들이 놓여 있기 때문이죠. 업계는 그야말로 정부의 지원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2일 외신 및 철강업계에 따르면 전날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수입산 철강 관세를 최대 50%로 인상하기로 추진한다고 전해졌습니다. 국내 철강사들의 부담이 심화할 수 밖에 없는 소식입니다.

유럽은 국내 철강업계의 주력시장입니다. 현대제철은 글로벌 자동차 강판 판매 비중을 기존 19%에서 2030년까지 30%까지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유럽 지역에서 차강판 판매를 강화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고관세는 매출이나 사업 전략에 즉각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지금도 업황이 어려운데 이번 발표로 부담이 더해질 예정"이라며 "국내에서도 산업 보호를 위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합니다.

이미 철강업계는 미국으로의 철강 제품 수출 시 50%의 고율 관세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매년 조선업계와의 후판 가격 협상으로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고 중국 및 일본 철강 기업과도 경쟁하고 있습니다.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주요 철강사들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46%, 63% 감소했습니다. 그런 와중에도 기업들은 저마다의 돌파구를 찾고 있습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미국으로의 직접 투자를 나서고 있고 업계 전반에서 화학업계와 유사하게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에 공들이고 있습니다.

남은 건 정부의 대책입니다. 기업들은 이미 고부가 제품 전환·공정 효율화 등 자구책 마련에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현재 놓인 대내외적인 상황에서 개별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합니다. 정부가 이달 중으로 발표할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이 중요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이들은 또 지난 8월 국회에서 발의된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및 녹색철강기술 전환을 위한 특별법, 이른바 K-스틸법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정부는 단기 처방에 그치지 않고 기업들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해줘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뒤늦게 지원에 나선 위기의 석유화학업계와 비슷한 길을 가지 않기 위해선 기업과 정부의 발걸음이 지금보다 더 빨라져야 할 때 입니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