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KT와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교차 분석한 결과, 지난달 23일 기준 경찰청이 파악한 피해자 214명 중 19명이 KT 전수조사에서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로 나타났다. 황 의원은 KT와 경찰청이 각각 조사한 피해 내용을 결제 일시, 통신이 이뤄진 장소, 피해액 등 요소별로 나눠 교차 검증해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황 의원은 "결제 시간이 일부 차이 나는 경우에도 금액이 유사하면 집계에서는 제외하는 등 결과를 최대한 보수적으로 산출했음에도 19명의 추가 피해자가 드러난 것은 KT의 고의적인 축소·은폐 때문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 "KT가 피해가 없었다고 밝힌 시간대에도 피해자가 다수 있었다는 점이 드러났다"며 "KT가 파악한 불법 기지국 ID 4개 외에도 불법 기지국이 더 존재할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KT는 지난달 1일 오후 11시 이전 시간대에 피해가 없었다고 밝혔지만, 경찰청 조사 결과 같은 날 오전 10시 57분, 오후 1시 4분, 5시 12분에 3명의 피해자가 더 있었다. 9월 2일에도 KT는 오전 7시 10분 이후 피해를 발견하지 못했지만 경찰 파악으로는 오전 8시 50분부터 오후 1시 4분까지 부평구, 부천시 일대에서 4명의 피해자가 나왔다.
황 의원은 "특정 시간대의 피해 상황을 KT가 완전히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KT가 파악 못한 추가 불법 기지국 ID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피해 시간대 자체가 완전히 누락되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어 "KT가 파악하지 못했던 피해자들이 카카오톡 결제내역 수신 및 로그아웃, 네이버 인증 수신 및 로그아웃 등을 경험했다고 경찰에 밝혔다"며 "KT가 적극적인 피해 상황 파악에 나서라"고 했다.
이에 대해 KT는 "피해 상황을 확인 중"이라고 일축했다.